-
경기도 가평군에서 행해지던 민속놀이. 자치기는 두 팀으로 나누어 나무 막대를 치는 놀이이다. 선수 팀이 ‘채’[또는 긴 막대]를 이용하여 ‘알’[또는 짧은 막대]을 치게 되는데, 후수 팀이 날아오는 ‘알’을 잡으면 선수가 바뀌게 된다. 결국, 두 팀이 경기를 해서 ‘알’이 떨어진 거리를 재어 보고, 멀리 보낸 편이 이기게 되는 놀이이다. 가평군의 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가일리와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에 걸쳐 있는 산. 유명산(有明山)은 원래 ‘말을 방목했다’는 뜻의 ‘마유산(馬遊山)’으로 불렸다. 마유산에 전해오는 전설에 따르면, 산속에 살던 부부가 어렵게 아이를 하나 낳았는데 아침에 낳은 아이가 저녁에 밥상 위로 올라앉으니, 부부는 상서롭지 않은 아이 때문에 역적으로 오해를 받아 일족이 멸할까 두려워하여...
-
경기도 가평군의 각 마을마다 주민들의 각종 회의, 마을 대소사 협의를 목적으로 지은 공공 건물. 경기도 가평군의 마을 회관은 주민들이 모여 마을 공동체의 일을 논의할 뿐만 아니라, 휴식과 친목을 도모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목적의 공간은 근대 이전에도 존재했는데, 특히 농경이 주업이던 전통 시대에는 두레 관련 일을 공동으로 논의하는 일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
경기도 가평군의 지역 공동체를 기반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을 단위의 기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해주는 사업. 마을기업 육성사업은 가평군 지역 주민들이 지역 자원을 활용하여 공동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역 주민들의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의 경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사업이다. 사업의 목표는 경제적으로는 마을의 특화된 자원을 소비하여...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지내는 공동체 신앙. 가평 지역의 마을신앙의 명칭은 산제사, 산치성, 산신제, 산천제사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마을 공동체의 안녕을 산신께 기원하는 제례가 가장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산이 많은 가평의 지역 환경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제의 시기는 음력 9월 초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다음으로 10월초가...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일리(馬日里)는 가평군 조종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마일1리, 마일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보래곡, 보름골, 밭마일, 동막골 등이 있다. 마일리는 지역이 마봉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마일’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마일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조종하면 마일리였다. 1914년...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매봉산 중턱에 위치한 옛 절터. 마일리 절골사터는 가평군 조종면 마일리 매봉산 중턱에 위치한 잘 알려지지 않은 절터이다. 일제 강점기에 알려진 이래 추가적인 조사가 없었던 유적이다. 마일리 절골사터는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최초 건립된 배경이나 유적의 변천과정을 추정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다만 마을 주민의 진술을 통...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매봉산 중턱에 위치한 옛 절터. 마일리 절골사터는 가평군 조종면 마일리 매봉산 중턱에 위치한 잘 알려지지 않은 절터이다. 일제 강점기에 알려진 이래 추가적인 조사가 없었던 유적이다. 마일리 절골사터는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최초 건립된 배경이나 유적의 변천과정을 추정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다만 마을 주민의 진술을 통...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마일리에서 발원하여 조종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마일천(馬日川)은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조종천의 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마일천은 조종면 마일리에 있는 우정봉 남쪽 기슭에서 발원한다. 마일천은 하천이 발원 및 경유하는 마일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마일천 유역의 북쪽에는 우정봉, 동쪽에는 매봉과 육청광산 등이 있다. 마일천은...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장리(馬場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마장1리, 마장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각담말, 송정, 하마장, 당묵개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전국 각 지역에 역(驛)이 설치되어 지방관리나 연락관이 사용할 수 있는 말을 상주시켰으며, 군마와 역마를 기르고 훈련시키는 장소를 ‘마장’이라 불렀다...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마장리에서 발원하여 가평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마장천(馬場川)은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가평천의 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마장천은 가평읍 마장리에 있는 구나무산 동사면에서 발원한다. 마장천은 하천이 발원 및 경유하는 마장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마장천은 경사도가 상류부에서 1/6, 하류부에서 1/20로 전체적으로 경사가 매...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마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평마장초등학교의 교훈은 ‘건강하고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이다. 교육의 기본 방향은 ‘기초, 기본을 다지며 행복을 엮어가는 마장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는 ‘사랑과 배려,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가평마장초등학교는 1924년 4월...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마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평마장초등학교의 교훈은 ‘건강하고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이다. 교육의 기본 방향은 ‘기초, 기본을 다지며 행복을 엮어가는 마장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는 ‘사랑과 배려,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가평마장초등학교는 1924년 4월...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마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평마장초등학교의 교훈은 ‘건강하고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이다. 교육의 기본 방향은 ‘기초, 기본을 다지며 행복을 엮어가는 마장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는 ‘사랑과 배려,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가평마장초등학교는 1924년 4월...
-
경기도 가평군에서 행해지던 민속놀이. 자치기는 두 팀으로 나누어 나무 막대를 치는 놀이이다. 선수 팀이 ‘채’[또는 긴 막대]를 이용하여 ‘알’[또는 짧은 막대]을 치게 되는데, 후수 팀이 날아오는 ‘알’을 잡으면 선수가 바뀌게 된다. 결국, 두 팀이 경기를 해서 ‘알’이 떨어진 거리를 재어 보고, 멀리 보낸 편이 이기게 되는 놀이이다. 가평군의 자...
-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시대 문신. 최기남(崔起南)[1559~161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여숙(與叔)이고, 호는 만곡(晩谷)·만옹(晩翁)·양암(養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명손(崔命孫), 할아버지는 최업(崔嶪), 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최수준(崔秀俊)이다. 어머니는 호조 참의에 추증된 남상질(南尙質)의 딸이며, 부인은 유영립(柳永立...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장원한(張遠翰)[1645~1742]의 본관은 인동(仁同)이고, 자는 만리(萬里)이다. 아버지는 장득종(張得宗)이고, 부인은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장원한이 12세 때 아버지의 병이 위독해지자 밤낮으로 울면서 자신이 대신 죽기를 기도하였고, 변을 맛보아 가며 병세를 살폈다. 아버지가 사망한 뒤에는 삼년...
-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시대 문신. 최기남(崔起南)[1559~161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여숙(與叔)이고, 호는 만곡(晩谷)·만옹(晩翁)·양암(養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명손(崔命孫), 할아버지는 최업(崔嶪), 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최수준(崔秀俊)이다. 어머니는 호조 참의에 추증된 남상질(南尙質)의 딸이며, 부인은 유영립(柳永立...
-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리,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지암리, 화천군 사내면 삼일리에 걸쳐 있는 산. 응봉(鷹峰)은 ‘산’의 옛말이 ‘메[뫼]’이기 때문에 ‘매봉’이라 부르다가 한자로 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응봉의 서쪽으로는 화악산·석룡산, 남쪽으로는 촛대봉과 이어지며, 북쪽으로는 지촌천에서 능선이 그친다. 응봉의 남서쪽으로는 화악천, 남동쪽...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경반리·승안리와 조종면 마일리에 걸쳐 있는 산. 매봉은 ‘산’의 옛말이 ‘메[뫼]’이기 때문에 ‘매봉’이라 부르게 된 이름이라 전해진다. 매봉의 북쪽으로는 연인산·우정봉, 남쪽으로는 깃대봉·약수봉, 동쪽으로는 칼봉산·선인봉과 이어진다. 매봉의 동남쪽으로는 경반천, 동북쪽으로는 승안천, 서쪽으로는 마일천이 흐른다. 매봉...
-
경기도 가평군의 토지에 매장되어 있는 유형의 문화재. 경기도 가평군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매장문화재가 확인되고 있다. 구석기 시대의 경우 단독으로 발굴된 유적은 없지만, 찍개, 긁개, 망치 돌 등의 뗀석기가 지표상에서 여러 점 수습되었다. 인근 지역인 강원도 양구군·홍천군·춘천시, 경기도 남양주시 등지에서 구석기 유적이 발견되고 있는...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와 적목리에 걸쳐 있는 산. 명지산(明智山)은 ‘맹주산(盟主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주위 산들의 우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후에 ‘맹주산’이 지금의 ‘명지산’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지산의 서쪽으로는 강씨봉에서 귀목봉·연인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연결되고, 동쪽으로는...
-
경기도 가평군에서 행해지던 민속놀이. 자치기는 두 팀으로 나누어 나무 막대를 치는 놀이이다. 선수 팀이 ‘채’[또는 긴 막대]를 이용하여 ‘알’[또는 짧은 막대]을 치게 되는데, 후수 팀이 날아오는 ‘알’을 잡으면 선수가 바뀌게 된다. 결국, 두 팀이 경기를 해서 ‘알’이 떨어진 거리를 재어 보고, 멀리 보낸 편이 이기게 되는 놀이이다. 가평군의 자...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개항기 문신. 이면영(李冕榮)[1832~?]의 본관은 용인(龍仁)이고, 자는 주숙(周叔)이다. 초명은 이면광(李冕光)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자(正字) 이내현(李來鉉), 할아버지는 군수(郡守) 이원길(李源吉), 아버지는 이규동(李奎東)이다. 어머니는 동래 정씨(東萊 鄭氏) 정동윤(鄭東胤)의 딸이고, 부인은 여산 송씨(礪山 宋...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본관은 경주(慶州), 아명은 기남(奇男),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이다. 아버지는 최대(崔岱)이며, 1833년 경기도 포천현 내북면 가채리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최익현은 1846년(헌종 12) 14세 때 벽계로 은거한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6년...
-
경기도 가평 지역의 풍수지리설에서 이상적 환경으로 보는 길지. 가평은 북쪽으로 한북정맥의 증조인 광덕산에서 이어진 운악산, 백두대간의 증조인 오대산에서 이어진 계방산, 용문산 줄기가 에워싸고 있다. 북한강을 경계로 북쪽은 운악산 줄기인 운악산, 청계산, 연등산, 명지산, 천마산, 백봉, 조조산, 예봉산, 상산, 축령산, 검봉산, 대검산, 불기산이 있고 남쪽은...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남노성(南老星)[1603~1667]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자는 명서(明瑞)이고, 호는 운곡(雲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언경(南彦經), 할아버지는 남격(南格), 아버지는 남호학(南好學)이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부인은 두 명인데, 한 명은 한의(韓嶷)의 딸이고, 다른 한 명은 이안인(...
-
경기도 가평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필규(金弼圭)[1874~1919]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명심(明審), 이명(異名)은 김문규(金文圭)이다. 1874년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달전리[현 가평읍 달전리]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평산신씨 신도균(申道均)의 딸이다. 김필규는 10세 이전부터 소학(小學)과 대학(大學)을 완독했을 정도로 총명했다고 전해지...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 무신. 이문성(李文誠)[1503~1575]의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명중(明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병조 참의 이예장(李禮長), 할아버지는 판결사(判決事) 이시무(李時珤), 아버지는 양주목사(楊州牧使) 이공달(李公達)이다. 어머니는 광주 김씨(光州 金氏)로, 광원군(光原君) 김백겸(金百謙)의 딸이다. 부인은 단양 우...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에 있는 계곡. 명지계곡(明智溪谷)은 명지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명지산은 ‘맹주산(盟主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주위 산들의 우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후에 ‘맹주산’이 지금의 ‘명지산’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지계곡은 명지산 정상에서 동쪽 골짜기를 따라 형성된 계곡...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와 적목리에 걸쳐 있는 산. 명지산(明智山)은 ‘맹주산(盟主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주위 산들의 우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후에 ‘맹주산’이 지금의 ‘명지산’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지산의 서쪽으로는 강씨봉에서 귀목봉·연인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연결되고, 동쪽으로는...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와 적목리에 걸쳐 있는 산. 명지산(明智山)은 ‘맹주산(盟主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주위 산들의 우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후에 ‘맹주산’이 지금의 ‘명지산’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지산의 서쪽으로는 강씨봉에서 귀목봉·연인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연결되고, 동쪽으로는...
-
경기도 가평군 북면과 조종면에 있는 군립공원. 명지산 군립공원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과 조종면에 걸쳐 있는 명지산에 지정된 군립공원이다. 명지산 군립공원은 가평군이 재정 자립 및 주민소득 향상의 일환으로 1991년 9월 30일 ‘명지산 군립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민자예산 150억 원 가량을 포함해 총 165억 원을 들여 주차장 및 상하수도 시설과 편...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에서 발원하여 가평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명지천(明智川)은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가평천의 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명지천은 북면 도대리에 있는 명지산 동사면에서 발원한다. 명지천은 명지산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명지산은 ‘맹주산(盟主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주위 산들의 우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에 있는 폭포. 명지폭포(明智瀑布)는 명지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명지산은 ‘맹주산(盟主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산세가 마치 주위 산들의 우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후에 ‘맹주산’이 지금의 ‘명지산’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지폭포는 명지산의 산지락을 따라 흐르는 명지계곡의 중간에...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와 이곡리를 연결하는 교량. 목동교(沐洞橋)는 가평천을 가로지르는 교량이다. 교량의 북쪽 부분은 가평군 북면 목동리, 남쪽 부분은 북면 이곡리에 속한다. 목동교는 북면 목동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목동(沐洞)은 마을 앞으로 흐르는 하천에서 선녀들이 목욕을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목동교는 길이가 125m, 폭이...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에 있는 근린공원. 목동근린공원은 가평군이 가평군민의 보건 및 휴양,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조성된 공원이다. 목동근린공원은 지역주민의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 영위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목동근린공원은 1974년 설립하였으며 운동시설을 비롯하여 놀이터, 전망대, 휴게시설 등이 조성되었다. 목동근...
-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동리(沐洞里)는 가평군 북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목동1리, 목동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선황당, 죽둔리, 싸리재, 범바위 등이 있다. 목동리는 사람이나 짐승의 목 중 앞부분을 의미하는 길목에 위치한 동네라는 ‘멱골’ 또는 ‘목동’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에 있는 석기 시대 생활 유적. 목동리 구석기 유적은 목동도시공원 조성 과정에서 발굴되었다. 2008년 목동도시공원 조성을 위한 지표 조사에서 유적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오자 2009년 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제4기층과 구석기 유물이 발견된 2,539㎡ 부지에 대해 정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토양층이 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에 있는 산업 단지. 수도권 내 중소기업 이전 대상 업체들의 이전 수용을 통한 지역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조성된 산업 단지이다. 서울 동북쪽 80㎞지점의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 일원에 설립되었다. 1994년 6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약 4년 6개월 간 조성 기간을 들여 만들어졌다. 총 면적 6만㎡이다. 중앙고속도로 및 춘천고속도로를 통해...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목동초등학교의 교훈은 ‘나를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자’이다.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창의적인 학습 지도,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한 사랑과 대화가 있는 교육, 인화와 단결을 통한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 발현’이다. 교육 방침은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과 대화로 가르친다, 서로 더불...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목동초등학교의 교훈은 ‘나를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자’이다.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창의적인 학습 지도,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한 사랑과 대화가 있는 교육, 인화와 단결을 통한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 발현’이다. 교육 방침은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과 대화로 가르친다, 서로 더불...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동막리를 연결하는 고개. 목빈재고개의 유래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진다. 옛날에 파계승이 고개를 넘다가 목화밭에서 목화를 따던 처녀를 보고 능욕하려 하였는데, 처녀가 반항하며 팔을 물어뜯자 화가 나서 처녀를 죽이고 말았다. 마침 홍천 지방으로 나들이를 다녀오던 고을 원님이 이 광경을 보고 그 자리에서 스님의...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동막리를 연결하는 고개. 목빈재고개의 유래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진다. 옛날에 파계승이 고개를 넘다가 목화밭에서 목화를 따던 처녀를 보고 능욕하려 하였는데, 처녀가 반항하며 팔을 물어뜯자 화가 나서 처녀를 죽이고 말았다. 마침 홍천 지방으로 나들이를 다녀오던 고을 원님이 이 광경을 보고 그 자리에서 스님의...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에 전승되는 정절을 지킨 처녀 설화. 「죽음으로써 정절을 지킨 처녀」 설화는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에서 목화를 따던 처녀가 고개를 넘어가던 중에게 정절을 빼앗기지 않고자 저항하다 죽음을 당했다는 이야기이다. 「죽음으로써 정절을 지킨 처녀」 설화는 2006년 간행한 『가평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경기도 가평군 설악...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동막리를 연결하는 고개. 목빈재고개의 유래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진다. 옛날에 파계승이 고개를 넘다가 목화밭에서 목화를 따던 처녀를 보고 능욕하려 하였는데, 처녀가 반항하며 팔을 물어뜯자 화가 나서 처녀를 죽이고 말았다. 마침 홍천 지방으로 나들이를 다녀오던 고을 원님이 이 광경을 보고 그 자리에서 스님의...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동막리를 연결하는 고개. 목빈재고개의 유래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진다. 옛날에 파계승이 고개를 넘다가 목화밭에서 목화를 따던 처녀를 보고 능욕하려 하였는데, 처녀가 반항하며 팔을 물어뜯자 화가 나서 처녀를 죽이고 말았다. 마침 홍천 지방으로 나들이를 다녀오던 고을 원님이 이 광경을 보고 그 자리에서 스님의...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의 한글학자. 한글재단 초대 이사장과 학글학회 회장을 지냈다. 국어학자이며 한글학자로 한글보급과 발전을 위해서 일하였다. 한갑수(韓甲洙)[1913~2004]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호는 목원(牧原)·왈례(曰禮)·눈메이다. 1913년 6월 26일 경기도 가평군에서 출생하였다. 한갑수는 1933년 전라북도 고창고등보통학...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규봉(李圭鳳)[1873~1961]의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기남(沂南), 호는 목천(牧川)이다. 1873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에서 태어났다. 이규봉은 1893년 가평읍에서 사숙을 운영하였으며,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斷髮令)을 계기로 의병이 일어나자 의병장 이충응(李忠應)의 종사관으로 활동하였다....
-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리와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사북면 지암리에 걸쳐 있는 산. 몽덕산(夢德山)은 어진 덕이 몽실몽실 피어오른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전해지는데, 출처가 정확하지 않다. 몽덕산의 서북쪽으로는 화악산·응봉·촛대봉, 남쪽으로는 가덕산·북배산·계관산과 연결된다. 몽덕산의 북쪽과 동북쪽으로 흐르는 계류는 지암천으로 유입되고, 서...
-
경기도 가평군에 있었던 미원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이제신(李濟臣)[1536~1583]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자는 몽응(夢應)이고, 호는 청강(淸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예원 판결사 이시보(李時珤), 할아버지는 양주목사 이공달(李公達), 아버지는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이문성(李文誠)이다. 어머니는 단양 우씨(丹陽 禹氏) 우예손(禹禮孫)의 딸이고, 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2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이곡2리 석장모루 무궁화마을의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은 크게 네 단계로 추진된다. 예비단계인 이바지마을, 1단계인 희망마을, 2단계인 행복마을, 3단계 희복마을로 구성되며, 이는 마을의 역량에 따라 단계별로 지원되는 시스템이다. 예비단계인 이바지마을은 마을의 활력과 협력 부족으로 마을발전계획을...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신앙 형태. 가평 지역에서는 무속신앙이 활발하지 않았다. 이곳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무당도 많지 않으며 굿도 성행하지 않았다. 무속이 성행하지 않으니 가평 지역의 무속이라고 할만한 지역에 근거한 정체성이 있는 무속 의례나 신당 역시 형성되지 못하였다. 경기도 지역에서는 30년 전만 하더라도 장례를 마치면 당...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에 있는 폭포. 무운폭포(舞雲瀑布)는 ‘무우폭포(舞雩瀑布)’라 부르기도 한다. 무운폭포는 안개처럼 부옇게 내리는 비 혹은 기우제를 지내는 제단을 뜻하는 ‘무우(舞雩)’에서 유래한 이름이라는 설과 자연을 벗 삼는 즐거움이라는 뜻의 ‘무우귀영(舞雩歸詠)’이라는 고사성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무운폭포는 운악산 중턱에...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에 있는 폭포. 무운폭포(舞雲瀑布)는 ‘무우폭포(舞雩瀑布)’라 부르기도 한다. 무운폭포는 안개처럼 부옇게 내리는 비 혹은 기우제를 지내는 제단을 뜻하는 ‘무우(舞雩)’에서 유래한 이름이라는 설과 자연을 벗 삼는 즐거움이라는 뜻의 ‘무우귀영(舞雩歸詠)’이라는 고사성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무운폭포는 운악산 중턱에...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에 있는 폭포. 무주채폭포(舞酒菜瀑布)는 숲이 우거져 있어 남의 눈에 잘 띄지 않고, 물이 차가워 옛날에 여름마다 무관(武官)들이 무예를 수련한 장소였다고 한다. 수련이 끝나는 날이면 무관들은 이곳에서 술을 마시며 나물을 안주로 삼고 춤을 추었다 하여 ‘무주채(舞酒菜)’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무주채폭포...
-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에 승탑이 있는 조선 전기 승려. 기화(己和)[1376~1433]의 본관은 충주(忠州)이고, 속성은 유씨(劉氏)이다. 호는 득통(得通), 당호는 함허(涵虛)이다. 첫 법명은 수이(守伊), 첫 법호는 무준(無準)이다. 아버지는 전객시(典客寺) 사(事) 유청(劉聽)이다. 어머니는 방씨(方氏)이다. 조선 초기 배불 정책에 맞서 유학의 잘못된 불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안리(墨安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묵안1리, 묵안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즉음, 조항, 묵안, 국수터 등이 있다. 묵안리은 마을 입구에 검은 바위가 있어서 ‘먹바위’ 또는 ‘묵안’, ‘묵암’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묵안리는 1914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 있는 암각자. 묵안리 암각자는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 산35-2에 위치하고 있다. 가평군에서 351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가다보면 묵안리 인근에 도로를 내기 위해 바위산을 절개한 절벽을 볼 수 있다. 이 절벽의 동쪽 암벽 상단에 있다. 암벽 상단에 ‘양주조씨분산동구(揚州趙氏墳山洞口)’라고 새겨져 있다. 해당 글자를 통해 주...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묵안리 초롱이둥지마을은 2018년 ‘신나고 즐겁게 어울려 살아가는 초롱이 둥지마을’이라는 비전을 세웠고, 문화와 배움을 통해 서로를 아끼는 숲속 문화마을을 만들어 갈 것을 목표로 세웠다. 묵안리 초롱이둥지마을은 청정지역에 산다는 초롱새와 금강초롱꽃처럼 맑고 깨끗한 자연을 가진 마을...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시대 문신.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자는 응문(應文)이고, 호는 어우당(於于堂)·간재(艮齋)·묵호자(默好子)이다. 시호는 의정(義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의(柳依), 할아버지는 사간 유충관(柳忠寬),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유탱(柳樘)이다. 어머니는 여흥 민씨(驪興 閔氏)로 참봉 민의(...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된 조선 후기~개항기 학자. 유중교(柳重敎)[1832~1893]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호는 성재(省齋), 자는 치정(穉程), 초명은 유맹교(柳孟敎)이다. 아버지는 진사 유조(柳鼂)이고, 어머니는 한산 이씨(韓山 李氏) 이희복(李羲福)의 딸이다. 유중교는 1836년(헌종 2)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문신. 이천보(李天輔)[1698~1761]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의숙(宜叔)이고, 호는 진암(晉庵)이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가상(李嘉相), 할아버지는 이중조(李重朝), 아버지는 옥천군수 이주신(李舟臣)이다. 어머니는 김만기(金萬基)의 딸이다. 이천보는 1725년(영조 1) 생원시에 합격한 후...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된 조선 후기 학자. 이항로(李恒老)[1792~1868]의 본관은 벽진(碧珍)이다. 자는 이술(而述)이고, 호는 화서(華西)이다. 초명은 이광로(李光老)이다. 아버지는 이조 참판을 증직받은 이회장(李晦章)이고, 어머니는 전의 이씨(全義 李氏) 이의집(李義集)의 딸이다. 부인은 고령 박씨(高靈 朴氏) 박최환(朴最煥)의 딸이다....
-
경기도 가평군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은상(李殷相)[1617~1678]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열경(說卿), 호는 동리(東里)이다.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조선 초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오른 이석형(李石亨)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현령 이계(李𡹘),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정구(李廷龜), 아버지는 형조...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있는 바위와 관련한 설화.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상천1리에 있는 문바위와 관련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옛날 상천1리의 마을에 청나라 군사들이 쳐들어 왔다. 피난하는 동네 사람들을 더 이상 피할 수 없게 되었을 때 바위가 열리어서 그 속의 동굴로 피난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 설화이다. 「피란민들을 구해 준 바위」 설화는 19...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승안리에서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제364호는 총 연장이 90.9㎞이며, 가평군에서는 가평읍·조종면·상면을 경유하는 21.851㎞ 구간이 포함된다. 지방도는 경기도에서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하는 도로로서, 노선번호는 300호대를 사용한다. 지방도 제364호는 기점인 파주시 문산읍과 종점인 가평군의 이름을 따서 문산...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일상(李一相)[1612~166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함경(咸卿)이고, 호는 청호(靑湖)이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이계(李啓),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정구(李廷龜), 아버지는 이조 판서 이명한(李明漢)이다. 어머니는 반남 박씨(潘南 朴氏)로, 호조 판서 박동량(朴東...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민영환의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역임한 민단현(閔端顯)이며, 할아버지는 증영의정(贈領議政)이자 고종의 외할아버지인 민치구(閔致久)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역임한 민겸호(閔謙鎬)이며, 어머니는 대구 서씨 서경순(徐庚淳)...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된 조선 후기~개항기 학자. 김평묵(金平黙)[1819~1891]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치장(穉章)이고, 호는 중암(重菴)·겸산(兼山)이다. 할아버지는 김도홍(金道弘), 아버지는 김성양(金聖養)이다. 어머니는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김평묵은 5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13세에는 경서(...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된 조선 전기 학자. 김식(金湜)[1482~1520]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노천(老泉)이고, 호는 사서(沙西)·동천(東泉)·정우당(淨友堂)이다. 시호는 문의(文毅)이다. 할아버지는 김질(金耋)이고, 아버지는 김숙필(金叔弼)이다. 어머니는 사천 목씨(泗川 目氏)이다. 김식은 1501년(연산군 7)에 진사가...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한 문신. 김육(金堉)[1580~1658]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백후(伯厚)이고, 호는 잠곡(潛谷)·회정당(晦靜堂)이다.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인 김식(金湜)의 4대손이다. 할아버지는 군자감 판관 김비(金棐), 아버지는 참봉 김흥우(金興宇)이다. 어머니는 현감 조희맹(趙希孟)의 딸이다. 김육은 1605년(선조...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었던 조선 후기 문신. 이단상(李端相)[1628~1669]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유능(幼能)이고, 호는 정관재(靜觀齋)·서호(西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령 이계(李界),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정구(李廷龜), 아버지는 대제학 이명한(李明漢)이다. 어머니는 나주 박씨(羅州 朴氏)로, 금계군(錦溪君) 박동량(朴東亮)의 딸이다. 16...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명한(李明漢)[1595~164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천장(天章)이고, 호는 백주(白洲)이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이순장(李順長), 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이계(李𡹘), 아버지는 좌의정(左議政) 이정구(李廷龜)이다. 어머니는 예조 판서를 역임한 안동 권씨(安...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조병휘(趙秉徽)[1808~1874]의 본관은 양주(楊州)이다. 자는 한경(漢鏡), 호는 추담(秋潭), 초명은 휘림(徽林),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조운규(趙雲逵), 할아버지는 조정현(趙廷鉉), 아버지는 조제만(趙濟晩)이다. 어머니는 홍경안(洪景顔)의 딸이며, 부인은 정기선(鄭基善)의 딸이다...
-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후기 문신. 최명길(崔鳴吉)[1586~164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자겸(子謙)이고, 호는 지천(遲川)·창랑(滄浪)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업(崔嶪), 할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 아버지는 영흥부사 최기남(崔起南)이다. 어머니는 참판 유영립(柳永立)의 딸이다. 아버지 최기남과 함께 광해군...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시대 문신.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조선 초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오른 이석형(李石亨),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 이혼(李渾...
-
경기도 가평군에서 만들어진 문학작품의 현황. 경기도 가평군의 문학은 고려 시대까지는 특별하게 전해져오는 작품은 확인되지 않지만 조선 시대에는 대제학이었던 김상현이 시를 읊던 지역이었고, 광해군 당시 잠곡으로 들어가 숯을 구워가며 생활하였던 조선 후기 문신인 김육의 흔적이 남아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으로 널리 알려진 소설가 조세희가...
-
경기도 가평군에서 행해지는 문화예술 활동과 정책, 그리고 기관 단체 및 문화 시설. 가평 지역의 문화예술은 가평군을 비롯하여 가평문화원과 한국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가평지부 등의 기관 단체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평군에서는 각종 문화예술 시설 건립과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이나 가평군민의 날, 가평 포도축제 등을 주최하고 있으며, 민간 문화예술 단체에서 거...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에 있는 아재비 고개에 관련하여 전승되는 설화. 「자기가 낳은 갓난아기를 뜯어먹는 산모」 설화는 옛날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 북쪽 끝자락에 있었던 아재비 고개의 산모와 아기에 관한 이야기이다. 「자기가 낳은 갓난아기를 뜯어먹는 산모」 설화는 2006년 발간한 『가평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딸 하...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물미연꽃마을은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 물미마을 주민들이 운영하는 농촌 체험 마을이다. 마을의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가 각각 자신들의 활동을 하며 모범적인 농촌 체험 마을을 만들고 있다. 물미연꽃마을은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다. 송산리는 과거 청평댐이 건설되기 전에 배를 이용하여 강원도에서 서울...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2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송산2리 물미연꽃마을은 2017년 ‘아름다운 호수와 숲 속 물미 사람들이 만드는 명품 힐링마을’이라는 마을 비전을 세웠다. 또한 ‘따뜻한 마을을 나누다’, ‘건강한 자연을 가꾸다’. ‘아름다운 경제를 만들다’라는 3대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송산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있는 복합 문화 시설. 가평 뮤직 빌리지 음악역 1939는 1939년 개장하였던 옛 가평역사 일대에 있는 음악 복합 문화 공간으로, 음악과 페스티벌, 휴식을 통하여 개인과 지역이 활력을 찾는 문화 마을이다. 가평 뮤직 빌리지 음악역 1939는 방문객 및 개인에게는 음악과 함께하는 양질의 휴식을, 음악인에게는 창작을 위한...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있는 복합 문화 시설. 가평 뮤직 빌리지 음악역 1939는 1939년 개장하였던 옛 가평역사 일대에 있는 음악 복합 문화 공간으로, 음악과 페스티벌, 휴식을 통하여 개인과 지역이 활력을 찾는 문화 마을이다. 가평 뮤직 빌리지 음악역 1939는 방문객 및 개인에게는 음악과 함께하는 양질의 휴식을, 음악인에게는 창작을 위한...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 있는 6·25전쟁 때 가평지구 전투에 참전한 미군을 기념하는 비. 1951년 1·4후퇴 이후 용문산, 가평지구 전투는 6·25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가평 지역은 서울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가평에서 많은 전투가 발생하였다. 미(美) 2사단 72전차대대는 가평지구 전투 시기인 1951년 4월, 목동에서 대원...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미륵을 모시는 신앙. 경기도에서는 미륵신앙이 마을 단위나 가정 단위에서 보이는데 마을 단위의 신앙은 안성, 용인, 이천 등지에서 동구에 미륵상을 모셔놓은 것을 볼 수 있다. 가정에서 미륵을 모셔놓은 사례도 드물기는 하지만 더러 보인다. 미륵을 모시게 된 계기는 집안의 내력이나 우연히 미륵상을 발견하여 모시게 되는 경우도 있다. 미륵의 신체...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미사1리에서 지냈던 마을 공동체 의례. 가평군 설악면 미사1리 산신제 제일은 10월 초순에 날을 받아 3년에 한 번 제를 지내고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있는 해에도 제를 지냈다. 수년전까지만 하더라도 마을에 날을 보는 사람이 있었으나 작고하였다. 미사1리 산신제를 언제부터 지내왔는지는 알 수 없다. 장승이 유명하였...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미사리(彌沙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미사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운담, 장성배기, 미사, 앞버덩 등이 있다. 미사리는 지역에 미륵불이 있어서 ‘미사’ 또는 ‘메수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미사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평군 북하도면(...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에 있던 개항기 효부 충주 지씨를 기리기 위해 세운 정문. 미사리 효부정문은 남양 홍씨(南陽 洪氏) 가문으로 시집온 충주 지씨(忠州 池氏)에게 내려진 정문이다. 충주 지씨는 중병에 걸린 시아버지를 10여 년간 대소변을 받아내며 봉양하였다고 한다. 병에 걸린 시아버지가 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자 눈 속에서 헤매며 꿩을 잡아 왔다는 이야기...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에서 발원하여 홍천강으로 유입되는 하천. 미사천(彌沙川)은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홍천강의 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미사천은 설악면 미사리에 있는 장락산맥에서 서쪽으로 뻗은 칼봉산 북사면에서 발원한다. 미사천은 하천이 발원 및 경유하는 미사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미사천은 경사도가 상류부에서 1/36, 하류부에서 1/...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마곡리를 연결하는 터널. 미사터널은 2009년 7월 15일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강일나들목에서 춘천분기점 구간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왕터산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미사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설악면 미사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미사터널은 서울 방향과 양양 방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에 있었던 조선 시대 서원. 미원서원은 1661년(현종 2) 가평 지역의 유림들이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와 정우당(淨友堂) 김식(金湜)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다. 1668년(현종 9) 잠곡(潛谷) 김육(金堉), 1694년(숙종 20)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 1734년(영조 10)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 1792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평성당에 소속되었던 천주교 공소. 청평성당 설악 공소는 경기도 양평군에 소속된 용문 본당이 관할하였던 설곡리 공소로부터 시작되었다. 1953년 10월 청평 본당이 설립되자 설악 공소가 경기도 가평군의 청평 본당으로 이관되었고, 청평 본당의 초대 주임으로 임응승 요한 신부가 부임하였다. 청평성당 설악 공소는 가평군 설악면 전 지...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서 발원하여 북한강으로 유입되는 하천. 미원천(迷源川)은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미원천은 설악면 묵안리에 있는 용문산 북쪽 문례봉 기슭에서 발원한다. 미원천은 고려시대 양근군의 속현이었던 미원현(迷原縣)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미원현은 1356년(공민왕 5) 국사(國師) 보우(普愚)가 미원장(迷原莊) 소...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원초등학교의 교훈은 ‘꿈과 사랑을 키워가는 미원어린이’이며 교육목표는 ‘협력과 나눔으로 배움을 즐기는 어린이, 존중과 배려로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건강한 어린이, 문화예술과 생태환경 감수성으로 공감하는 어린이’이다. 미원초등학교는 1919년 4월 18일 관내에서 세 번째 학교인 미원공립보통학교로...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원초등학교의 교훈은 ‘꿈과 사랑을 키워가는 미원어린이’이며 교육목표는 ‘협력과 나눔으로 배움을 즐기는 어린이, 존중과 배려로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건강한 어린이, 문화예술과 생태환경 감수성으로 공감하는 어린이’이다. 미원초등학교는 1919년 4월 18일 관내에서 세 번째 학교인 미원공립보통학교로...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원초등학교의 교훈은 ‘꿈과 사랑을 키워가는 미원어린이’이며 교육목표는 ‘협력과 나눔으로 배움을 즐기는 어린이, 존중과 배려로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건강한 어린이, 문화예술과 생태환경 감수성으로 공감하는 어린이’이다. 미원초등학교는 1919년 4월 18일 관내에서 세 번째 학교인 미원공립보통학교로...
-
경기도 가평군에서 농경 중심의 전통적인 생활을 하면서 사용하던 도구. 민구는 전통적인 농경 생활의 생활 도구로, 손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오늘날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생활 용품이나 기계적인 것과 달리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나무와 돌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 모양이 소박하고 복잡하지 않다. 민구는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다양한 것들이 있다....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와 포천시 이동면 연곡리에 걸쳐 있는 산. 민둥산은 산의 정상에 나무가 적고 밋밋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전해진다. ‘민드기봉’으로도 불린다. 민둥산은 한북정맥이 지나가는 가평군의 북단에 위치한다. 민둥산의 북동쪽으로는 국망봉, 남서쪽으로는 강씨봉·청계산과 이어진다. 민둥산의 정상 부분에는 헬기장이 있어 조망이 트여 있고,...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와 포천시 이동면 연곡리에 걸쳐 있는 산. 민둥산은 산의 정상에 나무가 적고 밋밋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전해진다. ‘민드기봉’으로도 불린다. 민둥산은 한북정맥이 지나가는 가평군의 북단에 위치한다. 민둥산의 북동쪽으로는 국망봉, 남서쪽으로는 강씨봉·청계산과 이어진다. 민둥산의 정상 부분에는 헬기장이 있어 조망이 트여 있고,...
-
경기도 가평군에서 일정한 돈을 내고 농어촌 지역의 가정집에서 취사 및 숙박을 하는 것. 민박은 ‘숙박업의 일종으로, 농어촌 주민이 자신의 단독 주택을 이용해서 숙박·취사 시설 등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여기서는 그 외연을 확장하여 가평 관내의 관광 시설, 관광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업 분야까지 포괄하였다. 가평군은 일찍부터 ‘관광 가평’을 표방하였고, 수도권...
-
경기도 가평 지역 주민들의 일상에서의 생활 양식. 민속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민속학자들은 ‘민속’이란 생활 속에서 경험하고 체득하고 영위하는 삶의 양식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다른 말로 ‘생활문화’라고도 하는데 그 대상은 의·식·주생활, 신앙 및 의례 생활, 놀이 및 여가 생활, 생업 및 사회 생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민속학계의 경향과 달리 일반 사람들이 생각...
-
경기도 가평군에서 전승되는 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 노동요는 의식요, 유희요, 흥민요, 동요 등과 함께 민요의 일종이다. 노동요는 노동의 피로를 덜고 능률을 올리기 위해 부르는 일노래이며, 혼자 또는 여럿이서 함께 부른다. 대개 노동요는 선후창의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선창자는 소리를 메기는 역할을 하고 후창자는 받는 역할을 맡는다. 가평군의 노동요는 외서면, 가평읍,...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민영순(閔泳純)[1879~1929]의 본관은 여흥(驪興), 초명은 영준(泳俊), 자는 덕윤(德允)이다. 아버지는 고종 때 황해도병마절도사를 지낸 민성호(閔成鎬)이며, 1879년 1월 27일 가평군 북면 화악리에서 태어났다. 1905년 가평군 북면 소법리의 정응길(鄭應吉) 딸과 혼인하였다. 민영순은 1891년 이규봉...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민영환의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역임한 민단현(閔端顯)이며, 할아버지는 증영의정(贈領議政)이자 고종의 외할아버지인 민치구(閔致久)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역임한 민겸호(閔謙鎬)이며, 어머니는 대구 서씨 서경순(徐庚淳)...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에 있는 개항기 문신 민영환을 기리기 위해 새긴 암각자. 민영환 암각자는 한자로 ‘민영환(閔泳煥)’이라 새겨진 암각자이다. 1906년 내시부 지사(知事) 나세환(羅世煥) 등 12명이 민영환의 뜻을 기리며 새겼다고 한다. 민영환[1861~1905], 조병세(趙秉世)[1827~1905],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정신을 기리...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에 있는 개항기 문신 민영환을 기리기 위해 새긴 암각자. 민영환 암각자는 한자로 ‘민영환(閔泳煥)’이라 새겨진 암각자이다. 1906년 내시부 지사(知事) 나세환(羅世煥) 등 12명이 민영환의 뜻을 기리며 새겼다고 한다. 민영환[1861~1905], 조병세(趙秉世)[1827~1905],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정신을 기리...
-
경기도 가평군에서 민중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노래. 민요(民謠)는 민간의 생활에서 우러난 노래로서,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동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평군의 민요에는 주로 노동요의 출현이 많다. 이 중에서도 주목할만한 가평군의 민요로는 논밭일 할 때 부르는 농요와 목도로 무거운 물건이나 돌을 옮기면서 부르는 목도소리가 있다....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에 있는 헌법기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가평 지역 협의회. 1980년 10월 27일 헌법 제68조의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규정」에 따라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라는 명칭으로 대통령 자문 기구가 설치되었다. 기구의 활동을 위한 법적 근거인「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법」은 1981년 3월 제정·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가평군협의회도 발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