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설과 추석 등의 명절에 지내는 제사.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설과 추석 차례가 전승되고 있다. 설에는 차례상에 떡국을 올리고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차례는 명절 아침에 지내는 제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자가례가 전례된 이후에 차례가 비롯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지배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다가 조...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차영호(車榮鎬)는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읍내리[현 가평읍 읍내리] 출신이다. 차영호는 1919년 3·1운동이 일어났을 때 서울 관훈동에서 잡화상을 경영하고 있었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탑골공원에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을 때 현장에 참여하였다. 이후 3·1운동의 영향으로 탄생한...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본관은 경주(慶州), 아명은 기남(奇男),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이다. 아버지는 최대(崔岱)이며, 1833년 경기도 포천현 내북면 가채리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최익현은 1846년(헌종 12) 14세 때 벽계로 은거한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6년...
-
경기도 가평군 일대에 서식하는 수리과의 겨울 철새. 참매는 유라시아 및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 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수리과의 대형 맹금류로 겨울철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철새이며, 매우 드물게는 텃세로 사계절을 보내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의 숲, 농지, 하천에 서식하며 예로부터 꿩 사냥에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조류이다. 참매는 몸길이가 50~60㎝로...
-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후기 문신. 최명길(崔鳴吉)[1586~164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자겸(子謙)이고, 호는 지천(遲川)·창랑(滄浪)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업(崔嶪), 할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 아버지는 영흥부사 최기남(崔起南)이다. 어머니는 참판 유영립(柳永立)의 딸이다. 아버지 최기남과 함께 광해군...
-
조선 전기 경기도 가평을 본관으로 하는 무신. 이형손(李亨孫)[1418~1496]의 본관은 가평(加平)이고, 자는 창백(昌伯)이다. 시호는 평호(平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춘계(李椿稧), 할아버지는 도평의사사 이침(李忱), 아버지는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이다림(李多林)이다. 어머니는 지금주사(知錦州事) 송리(宋理)의 딸인 여산 송씨(礪山 宋氏)...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창의리(倉宜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창의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도리, 삼의, 독산 등이 있다. 창의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창리(倉里)와 삼의리(三宜里)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창의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평군 북하도면(北下道面)...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창의리에서 음력 9월 2일에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 창의리는 1914년에 행정구역 통폐합을 할 때 창리와 삼의리를 합쳐서 만든 이름이다. 이 마을에는 아름다운 독산(獨山)이 있고 마을 서쪽에는 큰 샘이 있다. 마을 한복판에 있는 600여 년 된 느티나무는 홍천을 오가는 사람들이 잠시 머물다가 가는 휴식처이다. 창의리는 남쪽 안산으로 용...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창의리에 있는 보호수. 보호수는 가평군에 있는 나이가 많은 나무, 덩치가 큰 나무, 또는 희귀한 나무를 특별히 보호하거나 증식할 가치가 있어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지정된다. 창의리에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가 있는데, 1982년 10월 15일 가평군 제9호 보호수와 제10호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창의리 느티나무 중 가평군...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에서 발원하여 미원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창의천(倉宜川)은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미원천의 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미원천은 설악면 위곡리에 있는 장락산 서남쪽 기슭에서 발원한다. 창의천은 하천이 경유하는 창의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창의천은 경사도가 1/50~1/110으로 전체적으로 경사가 급한 편이다....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6·25전쟁 때 활약한 청평결사대원들의 혼을 기리는 탑. 1950년 6월 28일 북한군이 가평군으로 진격해오자, 7월 8일 남궁호, 엄순문, 인창학 등 8인이 북한군에 맞서 무력항쟁을 결의하고 마을 청년들을 모아 ‘청평결사대’라는 의용대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7월 21일 누군가의 밀고로 전원 체포되어 7월 27일 서울로 압송 수감되었으며, 8월 초...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창의리와 송산리를 연결하는 터널. 창의터널은 2009년 7월 15일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강일나들목에서 춘천분기점 구간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장락산에서 뻗어내린 능선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창의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설악면 창의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창의터널은 서울 방향과 양양 방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터널...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허격(許格)[1607~1691]의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자는 춘장(春長)이고, 호는 창해(滄海)·아호(鵝湖)·대명처사(大明處士)·숭정처사(崇禎處士)이다. 아버지는 시(詩)로 명성이 높았던 어은(漁隱) 허회(許淮)이다. 1607년(선조 40) 1월 14일 허회의 여섯 아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허격은 1627년...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학자. 채시경(蔡時鏡)[1618~1687]의 본관은 평강(平康)이다. 자는 국명(國明)이고, 호는 송곡(松谷)이다. 아버지는 통진현감(通津縣監) 채영후(蔡榮後)이고, 부인은 숙부인(淑夫人)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채시경은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에서 태어났다. 1652년(효종 3)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여름철에 고기를 먹으며 하루를 쉬는 풍속. 천렵은 여름철에 성인 남자들이 고기를 잡아서 매운탕을 끓여 먹으며 하루를 즐기는 풍속이다. 가평에서도 1960년대에는 개도 귀하여 개천에 나가서 민물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먹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개천에서 민물고기도 잡히지 않아 복날에 고기를 먹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태봉리에...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필행(李必行)[1589~1645]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자는 이원(而遠)이고, 호는 천미(天微)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준경(李浚慶), 할아버지는 이조 참의에 추증된 이예열(李禮悅), 아버지는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된 이사수(李士修)이다. 어머니는 김선(金銑)의 딸로, 정경부인(貞敬夫人)에 추증되었다. 부...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천안리(天安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천안1리, 천안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뇌암, 부지, 하오개 등이 있다. 천안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천현리(天峴里)와 안성골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천안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평군 북...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천안리에서 곡달산 능선을 통과하는 터널. 천안터널은 2009년 7월 15일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강일나들목에서 춘천분기점 구간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곡달산 능선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천안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설악면 천안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천안터널은 서울 방향과 양양 방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각 방향 모...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명한(李明漢)[1595~164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천장(天章)이고, 호는 백주(白洲)이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이순장(李順長), 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이계(李𡹘), 아버지는 좌의정(左議政) 이정구(李廷龜)이다. 어머니는 예조 판서를 역임한 안동 권씨(安...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성부, 성자(예수 그리스도), 성령의 삼위일체를 신앙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 종파.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교회의 대표자로 인정하는 종교이며 ‘가톨릭’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서학(西學)·서교(西敎)·천주학(天主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가평 지역의 천주교는 가평 천주교회, 미원 천주교회, 청평 천주교회, 현리 천주교회, 맹호 성당...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개항기 학자. 오경석(吳慶錫)[1831~1879]의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자는 원거(元秬), 호는 역매(亦梅)·진재(鎭齋)·천죽재(天竹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오도원(吳道源), 할아버지는 오계순(吳繼淳), 아버지는 오응현(吳膺賢)이다. 어머니는 금산 이씨(金山 李氏) 이연(李埏)의 딸이다. 동생으로 오경윤(吳慶潤), 오...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거행하는 세시 풍속. 단오를 ‘수릿날(戌衣日, 水瀨日)’이라고도 하며, 중오절(重午節)·단양(端陽)·천중절(天中節) 등으로도 불린다. 조선 시대에는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로 지내기도 했다. 예로부터 5월 5일은 1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때로 여겨 귀신을 쫓기 위한 의식이나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를 가졌다. 수...
-
경기도 가평군에서 침목 위에 철제 궤도를 설치하고 철로 위를 운행하는 교통 체계. 철도(鐵道)는 궤도를 따라 운행하는 여러 교통수단을 대표한다. 일제강점기 초기 남북 종관 철도와 주요 항구를 연결하는 철도를 부설함에 따라 경춘선과 같은 동서 방향의 철도 건설은 지체되었다. 가평군에서 철도가 최초로 운행한 시기는 서울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경춘선 철도가 개통한 1939년 7...
-
경기도 가평군에 있었던 미원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이제신(李濟臣)[1536~1583]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자는 몽응(夢應)이고, 호는 청강(淸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예원 판결사 이시보(李時珤), 할아버지는 양주목사 이공달(李公達), 아버지는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이문성(李文誠)이다. 어머니는 단양 우씨(丹陽 禹氏) 우예손(禹禮孫)의 딸이고, 부...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상판리와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에 걸쳐 있는 산. 청계산(淸溪山)은 청계산 북서쪽의 계곡물이 깨끗하고 수려하여 예로부터 ‘청계동천’이라 불려왔으므로 산의 이름도 ‘계곡마다 흐르는 물이 매우 맑다’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청계산의 북쪽으로는 강씨봉, 남서쪽으로는 원통산·운악산과 이어진다. 청계산의 북서쪽으로 흐르는...
-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는 다양한 주변 명소를 통해 시대별 청춘 문화상과 정서를 조명할 수 있는 대성리역, 대성리 국민관광단지 일원. 대성리역(大成里驛)은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는 경춘선의 전철역이다. 대성리역에는 두 개의 청춘 정서가 담겨 있다. 하나는 작동을 멈춘 구대성리역에 대한 기성세대의 청춘 시절 추억담이고 또 하나는 새롭게 들어선 대성리...
-
1995년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설립된 불교 사찰. 청룡사는 본원종 소속 사찰로, 석가모니불을 본사(本師)로, 아미타불을 도사(導師)로 태고 보우국사를 종조(宗祖)로 모시고,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1995년에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소재지는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톳골길 32-32[청평리 500]이다. 청룡사는 1995년...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문신. 김좌명(金佐明)[1616~1671]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일정(一正)이고, 호는 귀계(歸溪)·귀천(歸川)·재랑(齋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관 김비(金棐), 할아버지는 참봉 김흥우(金興宇), 아버지는 영의정 김육(金堉)이다. 어머니는 파평 윤씨로 윤급(尹汲)의 딸이다. 1616년(광해군 8) 11월 19일에 지금의 경기...
-
조선 시대 경기도 가평군수를 역임한 문신이자 서예가. 한호(韓濩)[1543~1605]의 본관은 삼화(三和)이다. 자는 경홍(景洪)이고, 호는 석봉(石峯)·청사(淸沙)이다. 한대기(韓大基)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한언공(韓彦恭)이다. 한석봉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한호는 1567년(명종 22) 진사시에 합격한 후 활인서(活人署) 별제(別提), 와서(瓦...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에서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제368호는 총 연장이 44.9㎞이며, 가평군에서는 북면 적목리 9.706㎞ 구간이 포함된다. 지방도는 경기도에서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하는 도로로서, 노선번호는 300호대를 사용한다. 지방도 제368호는 기점인 연천군 청산면과 종점인 가평군 북면 적목리의 이름을 따서 청산-적목선으...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청소년들이 인격, 기술, 학문 등을 단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설 현황. 가평군에 위치한 청소년 수련 시설은 청소년의 균형적 성장을 위하여 심신을 단련하고, 자질을 배양하여 능동적 참여와 취미를 장려하고,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품성을 함양하는 등 교육적 활동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 및 프로그램을 갖춘 공간을...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청소년들이 인격, 기술, 학문 등을 단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설 현황. 가평군에 위치한 청소년 수련 시설은 청소년의 균형적 성장을 위하여 심신을 단련하고, 자질을 배양하여 능동적 참여와 취미를 장려하고,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품성을 함양하는 등 교육적 활동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 및 프로그램을 갖춘 공간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청심국제고등학교의 교훈은 애천(愛天), 애인(愛人), 애국(愛國)의 ‘하늘을 경외하고 이웃을 보살피며 조국을 사랑하자’이며, ‘이타적 품성교육, 창의적 지식교육, 글로벌 리더 전문교육’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청심국제고등학교는 2005년 9월 청심국제중고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6년 3월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청심국제고등학교의 교훈은 애천(愛天), 애인(愛人), 애국(愛國)의 ‘하늘을 경외하고 이웃을 보살피며 조국을 사랑하자’이며, ‘이타적 품성교육, 창의적 지식교육, 글로벌 리더 전문교육’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청심국제고등학교는 2005년 9월 청심국제중고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6년 3월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청심국제고등학교의 교훈은 애천(愛天), 애인(愛人), 애국(愛國)의 ‘하늘을 경외하고 이웃을 보살피며 조국을 사랑하자’이며, ‘이타적 품성교육, 창의적 지식교육, 글로벌 리더 전문교육’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청심국제고등학교는 2005년 9월 청심국제중고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6년 3월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청심국제중학교의 교훈은 애천(愛天), 애인(愛人), 애국(愛國)의 ‘하늘을 경외하고 이웃을 보살피며 조국을 사랑하자’이며, ‘이타적 품성교육, 창의적 지식교육, 글로벌 리더 전문교육’이라는 3대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청심국제중학교는 2005년 9월 청심국제중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청심국제중학교의 교훈은 애천(愛天), 애인(愛人), 애국(愛國)의 ‘하늘을 경외하고 이웃을 보살피며 조국을 사랑하자’이며, ‘이타적 품성교육, 창의적 지식교육, 글로벌 리더 전문교육’이라는 3대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청심국제중학교는 2005년 9월 청심국제중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항사리와 청평면 상천리에 걸쳐 있는 산. 청우산은 산의 모습이 푸른 소가 서있는 형상이라는 뜻에서 ‘청우산(靑牛山)’이라 불렀는데, 이후 한자가 바뀌어 ‘청우산(靑雨山)’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청우산의 북쪽으로는 연인산·대금산, 남쪽으로는 조종천에서 능선이 그친다. 청우산의 동쪽으로는 수리천이 흐르고, 서쪽으로 흐르는 계류...
-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까지 경기도 가평군에서 활동한 최돈철의 일기. 『청은조록-청은 최돈철 일기』은 가평문화원의 초대 원장[임기:1986~1990]을 지낸 최돈철(崔燉喆)[1910~1992]의 일기체 기록물이다. ‘청은(淸隱)’은 최돈철의 호이다. 최돈철은 가평군 청평에서 대동의원을 개업하여 40여년간 의료업에 종사하였고, 가평문화원이 설립되기 전부터 가평향토문...
-
대한제국기 경기도 가평 출신의 의병장. 강윤희(姜允熙)[1868~1909]의 본관은 진주이며, 아버지는 강필형(姜苾馨)이다. 강윤희는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서울에 설치된 유약소(儒約所)에 참여하여 김동필(金東弼)·경현수(慶賢洙) 등과 함께 조약에 협조한 을사오적의 처단과 조약의 파기를 주장하며, 각국의 공사들에게 이 조약의 부당함을 알리는 활동을...
-
경기도 가평군 일대에서 생산되는 장미과 낙엽 교목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 가평사과는 명지산 계곡의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 그리고 일교차가 큰 산간 지방에서 재배되어 당도가 높고 육질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2006년 당시 가평의 사과 재배 역사는 나무수령을 기준으로 약 30년으로 추정되었다. 당시 사과 재배로 발생하는 소득은 단위 면적당 500만원/10...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와 대성리를 연결하는 교량. 청평1교는 조종천과 북한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교량으로, 국도 제46호와 국도 제37호가 통과한다. 청평1교의 북쪽 부분은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남쪽 부분은 청평면 대성리에 속한다. 서울에서 가평을 지나 춘천으로 향하는 국도 제46호의 교통량과 가평군 설악면에서 신청평대교를 넘어 포천시로...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하천리에서 청우산 능선을 통과하는 터널. 청평1터널은 2011년 국도 제37호를 확장하고 직선화하는 과정에서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천리에 개설되었다. 청평1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청평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청평에서 상면 방향으로 개설된 첫 번째 터널이다. 청평1터널은 상행선과 하행선이 분리되어 건설되어...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서 조종천을 가로지르는 교량. 청평2교는 국도 제46호와 국도 제37호가 통과하는 교량으로, 서울에서 가평을 지나 춘천으로 향하는 국도 제46호의 교통량과 가평군 설악면에서 신청평대교를 넘어 포천시로 향하는 국도 제37호의 교통량을 흡수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청평2교는 교량이 위치한 청평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하천리와 상면 덕현리를 연결하는 터널. 청평2터널은 2011년 국도 제37호를 확장하고 직선화하는 과정에서 청우산의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설되었다. 청평2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청평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청평에서 상면 방향으로 개설된 두 번째 터널이다. 청평2터널은 상행선과 하행선이 분리되어 건설되어 있...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4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청평4리 쉬엄마을은 2017년 ‘주민들은 쉼표, 여행객은 느낌표, 청평의 아름다운 정원에서 행복하게 머물 수 있는 쉬엄마을’이라는 마을 비전을 세우고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에 참여하였다. 청평4리 쉬엄마을은 머물면서 편히 쉴 수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아 ‘쉬엄마을’이라고 명명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의 마구전마을에서 음력 9월 1일에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 가평군 청평면 청평8리 마구전마을에서는 음력 9월 1일에 산치성을 올린다. 제의시간은 해질 무렵 준비하여 오후 4시경에 제를 지낸다. 당주는 1주일 전에 부정이 없는 사람으로 선출한다. 당주집에는 금줄을 치며 당주는 일체 부정을 피하고 근신해야 한다. 제물은 쌍으로 구입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하고 정의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교육 목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과 환경시스템 및 건축설계 분야에서 업무처리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유능한 기술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청평고등학교는 1953년 1월 19일 관내 최초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인가 받아 전기과 1학급, 유지가공...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하고 정의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교육 목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과 환경시스템 및 건축설계 분야에서 업무처리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유능한 기술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청평고등학교는 1953년 1월 19일 관내 최초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인가 받아 전기과 1학급, 유지가공...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하고 정의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교육 목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과 환경시스템 및 건축설계 분야에서 업무처리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유능한 기술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청평고등학교는 1953년 1월 19일 관내 최초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인가 받아 전기과 1학급, 유지가공...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서 조종천을 가로지르는 교량. 청평교(淸平橋)는 교량이 위치한 청평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청평(淸平)’이란 맑은 물과 뜰의 고장이라는 의미이다. 청평교는 길이가 110m, 폭이 15m이다. 기존의 청평교는 폭이 7.5m이었으나 확장된 교량 역시 폭 7.5m로 건설됨에 따라 현재 청평교의 폭은 15m에 달한다. 교량 형...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청평교회는 1946년 10월 27일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설립되었다. 청평교회는 오직 성경만을 신앙생활의 유일한 원리와 규범으로 믿으며, 복음을 나누고 교육을 통해 사랑을 실천하며 선교에 힘쓰는 교회이다. 청평교회는 70인제자 전도부를 통해 청평 지역 복음화에 힘쓰고 소외된 이...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와 대성리를 연결하는 교량. 청평대교(淸平大橋)는 교량이 위치한 청평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청평(淸平)’이란 맑은 물과 뜰의 고장이라는 의미이다. 청평대교는 길이가 125.3m, 폭이 10.7m, 유효폭이 9.8m, 높이가 15.5m이다. 경간 수는 5개이며, 최대 경간장은 25m에 이른다. 상부 형식은 PSC I형교이...
-
경기도 가평군을 흐르는 북한강에 건설된 댐. 청평댐은 가평군의 서남부 청평면 청평리와 설악면 회곡리에 걸쳐 북한강을 막아 건설한 댐으로, 북한강과 조종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약간 상류에 자리한다. 가평군을 흐르는 북한강은 주변에 산지가 발달해 있어 댐을 만들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곳이다. 청평댐은 전력 생산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발전용 댐으로, 북...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군립 도서관. 청평도서관은 경영·경제 특화 도서관으로, 청평 지역의 경영과 경제 지식뿐만아니라, 정보, 문화, 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설립하였다. 청평도서관은 2012년 1월 27일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서 개관하였다. 청평도서관은 지하 1층과 지상 3층 규모로 설립하였다. 지하 1층에는 북카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평리(淸平里)는 가평군 청평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청평1리부터 청평10리까지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가루개, 오대골, 안말, 석전동 등이 있다. 청평은 청평천(淸平川)의 준말로 깊고 맑은 내가 흐르는 들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청평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외서면 청평천·잠곡...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보호수. 보호수는 가평군에 있는 나이가 많은 나무, 덩치가 큰 나무, 또는 희귀한 나무를 특별히 보호하거나 증식할 가치가 있어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지정된다. 청평리 느티나무는 1982년 10월 15일 가평군 제20호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300년이다. 청평리 느티나무의 높이는 약 23m이고,...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 유물 산포지. 청평리 유적은 두 곳에 분포한다. 청평역을 중심으로 한 시가지 방향의 넓은 지역과 청평댐 입구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보이는 하천변 일대의 두 곳이다. 2006년 강원대학교 박물관에서 제작한 『문화유적분포지도』에서는 청평역 우측 하천을 따라 언덕을 포함한 670,947㎡ 부지에 대해 매장 문화재가...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초기 국가 시대 집자리 유적. 청평리 집자리 유적은 한국문화재재단 등의 기관에서 실시한 소규모 발굴조사 지원 사업을 통해 확인된 유적이다. 일반 가정집과 논밭으로 경작되던 곳인데, 1980~1990년대 이루어진 상하수도 매설 작업으로 인해 유적의 일부만 남아있다. 2017년 3개의 조사 구역에서 총 20기의 초기 국가 시대...
-
경기도 가평군에 2004년까지 있었던 법정면. 외서면(外西面)은 가평군 청평면의 옛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가평군 서면이었다. 이후 내서면(內西面)과 외서면으로 분리되었다. ‘외서면’은 가평 읍치의 서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 외서면은 초옥동(草玉洞), 상감천(上甘泉), 중감천(中甘泉), 수리현(秀理峴), 하감천(下甘泉), 오촌(午村), 장...
-
경기도 가평군에 속하는 법정면. 청평면(淸平面)은 가평군 남서쪽에 위치한 면으로 7개 법정리[청평리, 상천리, 하천리, 대성리, 호명리, 고성리, 삼회리]와 23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가평읍과 설악면, 서쪽으로는 상면과 남양주시 수동면, 남쪽으로는 양평군 서종면, 북쪽으로는 가평읍 및 조종면과 접한다. 청평은 북한강과 조종천 등의 깊...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청평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청평면행정복지센터는 가평군 청평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시대 변화에 맞게 주민을 위한 기존 행정 업무는 물론 문화, 복지 및 편의 시설로 새롭게 꾸며진 공공 기관이다. 청평면행정복지센터는 주민을 위한 각종 행정 서비스 제공은 물론 문화, 복지 및 여가 생활을 통해 주...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청평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청평면행정복지센터는 가평군 청평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시대 변화에 맞게 주민을 위한 기존 행정 업무는 물론 문화, 복지 및 편의 시설로 새롭게 꾸며진 공공 기관이다. 청평면행정복지센터는 주민을 위한 각종 행정 서비스 제공은 물론 문화, 복지 및 여가 생활을 통해 주...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있는 공연 및 예술 교육 단체. 청평문화예술학교는 2005년 설립한 공연 및 예술 교육 단체로, 한국무용을 하는 무용가 진수영이 대표로 있다. 청평문화예술학교는 공연과 예술 교육을 통해 예술인과 일반인 그리고 소외 계층 간의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자 2005년 청평면에 설립하였으며, 우리춤의 올곧은 보존과 계승 발전을 통...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위치한 가평군 내 최초의 천주교 본당. 청평성당은 1953년 10월 7일 서울대교구 양평 본당의 청평 공소에서 청평 본당으로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초대 주임신부로 임응승 신부가 부임하여 사목하였다. 청평성당은 가평군과 양주시 화도면 및 수동면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관할하는 신자들의 예배 장소이다. 지역사회의 복음화와 본당 교우...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평성당에 소속되었던 천주교 공소. 청평성당 설악 공소는 경기도 양평군에 소속된 용문 본당이 관할하였던 설곡리 공소로부터 시작되었다. 1953년 10월 청평 본당이 설립되자 설악 공소가 경기도 가평군의 청평 본당으로 이관되었고, 청평 본당의 초대 주임으로 임응승 요한 신부가 부임하였다. 청평성당 설악 공소는 가평군 설악면 전 지...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시외 및 군내버스 터미널. 청평터미널은 가평군에서 다른 지방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가평군 내에서 운행하는 군내버스가 여객을 승하차시키는 곳으로 ‘청평시외버스터미널’로도 불린다. 진흥고속이 청평터미널을 운영한다. 청평터미널은 1965년 11월 29일에 최초로 건립되었으며, 2004년 7월 28일 청평면 청평리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경춘선의 철도역. 청평역(淸平驛)은 수도권 전철의 출발역인 서울특별시 망우역 기점 39.9㎞ 지점에 있으며, 춘천 방향의 상천역과 서울 방향의 대성리역 사이에 위치한다. 청평역은 청평면의 중심지인 청평리에 자리하고 있어 청평을 대표 역명으로 사용하였다. 청평역은 경춘선이 복선 전철화되면서 과거에 이용되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에 있는 자연휴양림. 청평자연휴양림(淸平自然休養林)은 산림자원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도모하면서 숙박시설, 편의시설 등 기본적인 휴양시설을 설치하여 국민의 보건휴양, 정서함양, 산림교육 등을 위한 야외 휴양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뾰루봉[710m] 자락에 개인 자연휴양림으로 조성되었다. 청평자연휴양림은 1992년 3월 ‘우인자연...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청평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청평면행정복지센터는 가평군 청평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시대 변화에 맞게 주민을 위한 기존 행정 업무는 물론 문화, 복지 및 편의 시설로 새롭게 꾸며진 공공 기관이다. 청평면행정복지센터는 주민을 위한 각종 행정 서비스 제공은 물론 문화, 복지 및 여가 생활을 통해 주...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청평중학교의 교훈은 ‘정진하면 된다’로, 차분히 일보일보 정진(精進)하면 목적을 달성하고 성공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다. 교육 목표는 ‘질서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공동체의식을 갖는 도덕인, 모든 삶에서 합리적인 새로운 생각을 추구하는 창의인, 몸과 마음이 조화롭고 건강한 건강인, 나를 알고 세계...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청평중학교의 교훈은 ‘정진하면 된다’로, 차분히 일보일보 정진(精進)하면 목적을 달성하고 성공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다. 교육 목표는 ‘질서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공동체의식을 갖는 도덕인, 모든 삶에서 합리적인 새로운 생각을 추구하는 창의인, 몸과 마음이 조화롭고 건강한 건강인, 나를 알고 세계...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청평초등학교의 교훈은 ‘맑고 바르고 신나는 청평 어린이’이다. ‘배우고 공감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청평교육’을 교육비전으로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 어린이[창의인], 따뜻한 심성으로 소통하는 어린이[도덕인], 더불어 살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재능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어린이[건강인]’를 교육...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청평초등학교의 교훈은 ‘맑고 바르고 신나는 청평 어린이’이다. ‘배우고 공감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청평교육’을 교육비전으로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 어린이[창의인], 따뜻한 심성으로 소통하는 어린이[도덕인], 더불어 살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재능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어린이[건강인]’를 교육...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청평초등학교의 교훈은 ‘맑고 바르고 신나는 청평 어린이’이다. ‘배우고 공감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청평교육’을 교육비전으로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 어린이[창의인], 따뜻한 심성으로 소통하는 어린이[도덕인], 더불어 살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재능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어린이[건강인]’를 교육...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시외 및 군내버스 터미널. 청평터미널은 가평군에서 다른 지방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가평군 내에서 운행하는 군내버스가 여객을 승하차시키는 곳으로 ‘청평시외버스터미널’로도 불린다. 진흥고속이 청평터미널을 운영한다. 청평터미널은 1965년 11월 29일에 최초로 건립되었으며, 2004년 7월 28일 청평면 청평리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와 설악면 회곡리를 잇는 청평댐 건설로 생긴 호수. 청평호(淸平湖)는 주위에 호명산과 화야산, 장락산 등이 솟아 있어 경관이 좋고 호반을 따라 난 도로에서 바라보는 풍광이 빼어나다. 따라서 청평호반은 가평팔경 중 제1경에 지정되었다. 청평댐은 1930년대에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병참기지화 정책에 따라 건설된 북한강 수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평호반에서 이루어지는 수상 레저 활동. 우리나라 수변 자원의 의미와 활용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다. 농경이 시작되기 이전, 강과 호수는 단순히 식음을 위해 필요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장소였지만 이후 강과 호수의 다양한 활용법이 발명되었는데, 목적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경제적 활용이다. 강과 호수는 수많은 어...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문신. 김우명(金佑明)[1619~1675]의 본관은 청풍(淸風)이고, 자는 이정(以定)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자감 판관 김비(金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흥우(金興宇)이다. 아버지는 잠곡(潛谷) 김육(金堉)이며, 형은 영의정을 역임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김좌명(金佐明)이다. 딸은 조선 18대 국왕 현종의 비...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일상(李一相)[1612~166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함경(咸卿)이고, 호는 청호(靑湖)이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삼등현령(三登縣令) 이계(李啓),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정구(李廷龜), 아버지는 이조 판서 이명한(李明漢)이다. 어머니는 반남 박씨(潘南 朴氏)로, 호조 판서 박동량(朴東...
-
경기도 가평군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여가 및 운동 능력을 기르기 위해 실시하는 제반 활동과 시설. 체육의 사전적 개념은 일정한 운동 따위를 통하여 신체를 튼튼하게 단련시키는 일이나 그런 목적으로 하는 운동을 말한다. 가평군에는 군민들이 체육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공원이 있으며, 각종 체육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초·중·고등학교에는 운동장이나 체육관에 각...
-
경기도 가평군에서 체육 활동을 하는데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각종 시설. 경기도 가평군의 체육시설은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에서 담당하고 있다.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은 2005년 설립된 이후 2007년 가평테니스장 위탁 계약을 시작으로 2008년 조종국민체육센터, 2011년 축구전용구장과 조종생활체육공원을 관리하였으며, 2016년 한석봉 체육관, 2018년 선촌리야구장과...
-
경기도 가평군에 있거나, 과거에 있었던 초등 교육 기관. 초등학교는 학생의 학습,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학습 능력 배양, 기본 생활 습관 형성, 바른 인성 함양에 중점을 두는 교육 기관이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되는데, 교과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이며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초롱이 둥지마을은 농림축산산업부가 2004년부터 시행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2009년 선정되어 현재에 이른다. 초롱이 둥지마을의 이름은 깨끗한 청정 지역에만 사는 ‘초롱새’와 ‘금강초롱꽃’처럼 깨끗한 자연 같은 농촌 체험 마을이 되고자 하는 뜻으로 지었다. 초롱이 둥지마을은 ‘국수터’라는 또 다...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묵안리 초롱이둥지마을은 2018년 ‘신나고 즐겁게 어울려 살아가는 초롱이 둥지마을’이라는 비전을 세웠고, 문화와 배움을 통해 서로를 아끼는 숲속 문화마을을 만들어 갈 것을 목표로 세웠다. 묵안리 초롱이둥지마을은 청정지역에 산다는 초롱새와 금강초롱꽃처럼 맑고 깨끗한 자연을 가진 마을...
-
경기도 가평군에서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행하는 풍속. 석가탄신일, 부처님 오신 날, 불탄일(佛誕日), 욕불일(浴佛日), 석탄일(釋誕日) 등이라도 한다. 이날 행해지는 풍속에는 연등(燃燈) 행사, 관등놀이가 주를 이루었다. 연등 행사는 부처의 지혜와 광명을 세상에 비춘다는 취지로 시작하였는데, 수박등, 오리등, 학등, 연화등, 항아리등, 가마등,...
-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리와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지암리에 걸쳐 있는 산. 촛대봉은 정상부 봉우리가 세 개이고, 봉우리 끝이 뾰족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촛대봉의 북쪽으로는 응봉, 남동쪽으로는 몽덕산·가덕산과 이어진다. 촛대봉의 동쪽으로는 지암천, 서쪽으로는 화악천이 흐른다. 촛대봉은 능선에 암릉과 암봉이 일부 있어 조망이 좋다. 촛대봉...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위치한 본각사가 소속된 불교 종단. 총화종(總和宗)은 1969년 추강(秋岡) 최득연(崔得淵)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정식 명칭은 ‘대한불교 총화종(大韓佛敎 總和宗)’이다. 1960년 ‘화동회’라는 불교단체로 시작하였다가 ‘총화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9년 불교재산관리법에 따라 ‘대한불교 총화회’라는 명칭으로 국가에 등록한 뒤 ‘대한불...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건혁(崔建爀)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다. 할아버지는 최학순(崔學淳)이며, 아버지는 최기풍(崔基豊)이다. 1901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서 태어났다. 이명(異名)은 최건화(崔建和)이다. 최건혁은 유년시절 할아버지 최학순에게 한학을 배우고, 서울로 상경하여 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18년 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건혁(崔建爀)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다. 할아버지는 최학순(崔學淳)이며, 아버지는 최기풍(崔基豊)이다. 1901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서 태어났다. 이명(異名)은 최건화(崔建和)이다. 최건혁은 유년시절 할아버지 최학순에게 한학을 배우고, 서울로 상경하여 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18년 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
-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시대 문신. 최기남(崔起南)[1559~161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여숙(與叔)이고, 호는 만곡(晩谷)·만옹(晩翁)·양암(養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명손(崔命孫), 할아버지는 최업(崔嶪), 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최수준(崔秀俊)이다. 어머니는 호조 참의에 추증된 남상질(南尙質)의 딸이며, 부인은 유영립(柳永立...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기영(崔基榮)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다. 아버지는 최학순(崔學淳)이며, 1897년 7월 10일 가평군 북면 이곡리 335에서 태어났다. 가평읍에서 사숙을 운영했던 이규봉(李圭鳳)은 1919년 3월 1일 고종의 인산에 참여했다가 3·1운동을 목격하고, 「독립선언서」와 『독립신문』을 휴대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규봉...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기태(崔基太)의 본관은 수성(隋城), 자는 병문(柄文)이다. 아버지는 최세순(崔世淳)이며, 1893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전개된 3·1운동의 영향으로 가평군에서도 1919년 3월 15일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가평읍에서 사숙을 운영했던 이규봉(李圭鳳)은 이윤석(李胤錫)·정흥교(鄭興...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에서 전개된 북면 만세시위 참여자. 최기홍(崔基弘)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다. 할아버지는 최구현(崔九鉉), 아버지는 최덕순(崔悳淳)이며,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서 태어났다.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전개된 3·1운동의 영향으로 가평군에서도 1919년 3월 15일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최기홍(崔基弘)은 3...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가평문화원 초대 원장이자 의사. 최돈철[1910~1992]의 본관은 강릉이다. 아버지 최정재, 어머니 김씨 사이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최돈철은 의사고시에 합격한 후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에서 의원을 하다가 청평면으로 이전하여 40여 년간 대동의원을 경영하였다. 주요 활동으로는 경춘철도 촉탁의·가평군 공의[35년...
-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까지 경기도 가평군에서 활동한 최돈철의 일기. 『청은조록-청은 최돈철 일기』은 가평문화원의 초대 원장[임기:1986~1990]을 지낸 최돈철(崔燉喆)[1910~1992]의 일기체 기록물이다. ‘청은(淸隱)’은 최돈철의 호이다. 최돈철은 가평군 청평에서 대동의원을 개업하여 40여년간 의료업에 종사하였고, 가평문화원이 설립되기 전부터 가평향토문...
-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후기 문신. 최명길(崔鳴吉)[1586~164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자겸(子謙)이고, 호는 지천(遲川)·창랑(滄浪)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업(崔嶪), 할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 아버지는 영흥부사 최기남(崔起南)이다. 어머니는 참판 유영립(柳永立)의 딸이다. 아버지 최기남과 함께 광해군...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최석규(崔錫規)[1830~1887)의 본관은 경주, 자는 규현(規賢)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상계(崔相桂), 할아버지는 최영진(崔榮進), 아버지는 최기윤(崔基倫)이며,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강릉 유씨이다. 최석규는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 및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올랐다. 1887년에 58...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평에서 활동한 의병으로 한일합방인 1910년에 일제의 단속을 피해 최영순(崔永淳)으로 개명하였다. 1854년 7월 22일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현재 가평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사변에 반발하여 이듬해 신재희, 이충응 등이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포수였던 최재순은...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용화(崔容和)[1901~1970]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며, 독립운동가 최종화(崔宗和)의 동생이다. 본적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287이다. 최용화의 유년기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형인 최종화가 가릉보성학교(嘉陵普成學校)를 졸업하고 농림전문학교에 진학하는 등 학업에 정진하였으므로 그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평에서 활동한 의병으로 한일합방인 1910년에 일제의 단속을 피해 최영순(崔永淳)으로 개명하였다. 1854년 7월 22일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현재 가평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사변에 반발하여 이듬해 신재희, 이충응 등이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포수였던 최재순은...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본관은 경주(慶州), 아명은 기남(奇男),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이다. 아버지는 최대(崔岱)이며, 1833년 경기도 포천현 내북면 가채리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최익현은 1846년(헌종 12) 14세 때 벽계로 은거한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6년...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인화(崔仁和)[1900~1937]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며, 이명(異名)은 최인혁(崔仁爀)이다. 아버지는 최기선(崔基善)이며, 본적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이다. 이규봉(李圭鳳)의 둘째 딸 이윤애(李閏愛)와 혼인하였으며, 자식은 최승렬(崔承烈), 최승락(崔承洛)이 있다. 최인화는 가평읍에서 사숙을 운영했던 이규...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평에서 활동한 의병으로 한일합방인 1910년에 일제의 단속을 피해 최영순(崔永淳)으로 개명하였다. 1854년 7월 22일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현재 가평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사변에 반발하여 이듬해 신재희, 이충응 등이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포수였던 최재순은...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최종화(崔宗和)[1896~1919]의 본관은 수성(隋城)이며, 아버지는 궁내부 주사와 승훈랑(承訓郎)을 지낸 최기완(崔基完)이다. 본적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287이다. 15세 때 류은상(柳殷相)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자식으로 최승덕(崔承德)이 있다. 최종화는 8살 때부터 한학을 배웠고, 이병찬(李炳贊)에게...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조병휘(趙秉徽)[1808~1874]의 본관은 양주(楊州)이다. 자는 한경(漢鏡), 호는 추담(秋潭), 초명은 휘림(徽林),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조운규(趙雲逵), 할아버지는 조정현(趙廷鉉), 아버지는 조제만(趙濟晩)이다. 어머니는 홍경안(洪景顔)의 딸이며, 부인은 정기선(鄭基善)의 딸이다...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행하는 세시 풍속. 추석은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하며, ‘한가위’나 ‘가배(嘉俳)’, ‘가윗날’이라고도 한다. 가배의 어원은 ‘갚는다’, ‘베푼다’ 또는 ‘가운데’라는 뜻을 가졌다. 이는 한 해에 생산한 곡식과 과일을 수확하여 차례를 지내거나, 성묘를 가서 조상님의 은혜를 감사하는 추수 감사제의 성격을 말한다. 또...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시대 문신.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조선 초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오른 이석형(李石亨),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 이혼(李渾...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행현리와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리에 걸쳐 있는 산. 축령산(祝靈山)은 태조 이성계가 고려 말 축령산에 사냥을 온 다음과 같은 이야기에서 유래한 지명이라고 전해진다. 이성계가 축령산에 사냥을 나와 짐승을 한 마리도 못 잡았는데, 몰이꾼이 이를 보고 신령스러운 산이라 산신제를 지내야 한다고 하자, 산 정상에 올라 고사를 지낸 후 멧돼지를 5마리나...
-
경기도 가평군에서 가축을 기르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축산업은 농가 자원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는데 있다. 경기도 가평군은 축산물의 대처 수요지인 서울과 지리적으로 밀접하고 면적의 대부분을 임야가 차지하고 있어 초자원(草資源)이 풍부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개발 가능한 축산적지를 구입할 수 있는 부분이 비교적 많이 있다. 또한 최근에 도로 개발과 철도 개발이 병...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허격(許格)[1607~1691]의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자는 춘장(春長)이고, 호는 창해(滄海)·아호(鵝湖)·대명처사(大明處士)·숭정처사(崇禎處士)이다. 아버지는 시(詩)로 명성이 높았던 어은(漁隱) 허회(許淮)이다. 1607년(선조 40) 1월 14일 허회의 여섯 아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허격은 1627년...
-
경기도 가평 지역의 아이의 출생과 관련하여 행하는 의례. 출생의례는 사람이 태어날 때를 전후한 의례이다. 따라서 태어나기 전 기자신앙에서부터 돌잔치에 이르기까지 행해지는 의례로서, 한 사람의 일생을 통해서 보았을 때 일생 의례 중 맨 앞에 해당한다. 출생의례의 역사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우리나라의 일생 의례에는 민간 신앙, 무속, 유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요소가...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임현(任鉉)[1547~1597]의 본관은 풍천(豊川)이다. 자는 사중(士重)이고, 호는 애탄(愛灘)이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監察) 임유손(任由遜), 할아버지는 내섬시(內贍寺) 정(正) 임정(任楨), 아버지는 원주목사 임몽신(任夢臣)이다. 부인은 이원(李遠)의 딸이다. 임현은 이이...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군수를 역임한 문신. 이제두(李齊杜)[1626~168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자는 한경(漢卿)이고, 호는 충담(忠潭)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8세손이며, 아버지는 종친부(宗親府) 전부(典簿)를 역임한 이민후(李民厚)이다. 이제두는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문인으로, 1654년(효종 5) 진사...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이방실(李芳實)[1298~1362]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할아버지는 함안 이씨(咸安 李氏) 시조인 파산군(巴山君) 이상(李尙)이고, 아버지는 총랑(摠郎)·판도판서(判圖判書) 이원(李源)이다. 1298년(충렬왕 24) 함안 병곡내동(竝谷內洞) 생동산(生童산) 기슭에서 태어났다. 첫째 부인은 진주 강씨(晉州 姜氏)...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문신. 김좌명(金佐明)[1616~1671]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일정(一正)이고, 호는 귀계(歸溪)·귀천(歸川)·재랑(齋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관 김비(金棐), 할아버지는 참봉 김흥우(金興宇), 아버지는 영의정 김육(金堉)이다. 어머니는 파평 윤씨로 윤급(尹汲)의 딸이다. 1616년(광해군 8) 11월 19일에 지금의 경기...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문신. 김우명(金佑明)[1619~1675]의 본관은 청풍(淸風)이고, 자는 이정(以定)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자감 판관 김비(金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흥우(金興宇)이다. 아버지는 잠곡(潛谷) 김육(金堉)이며, 형은 영의정을 역임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김좌명(金佐明)이다. 딸은 조선 18대 국왕 현종의 비...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 낙향한 문신. 이시백(李時白)[1581~1660]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돈시(敦詩)이고, 호는 조암(釣巖)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기(李巙), 할아버지는 이정화(李廷華), 아버지는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이다. 어머니는 인동 장씨(仁同 張氏) 장민(張旻)의 딸이다. 동생은 이시방(李時昉)이다. 1...
-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 거주한 문신. 홍처후(洪處厚)[1599~1673]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자는 덕재(德載)이고, 호는 성암(醒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홍일민(洪逸民), 할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 아버지는 경기도관찰사 홍명원(洪命元)이다.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 尹氏)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민준(尹民俊)의 딸이다. 부인은 광주 정...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민영환의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역임한 민단현(閔端顯)이며, 할아버지는 증영의정(贈領議政)이자 고종의 외할아버지인 민치구(閔致久)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역임한 민겸호(閔謙鎬)이며, 어머니는 대구 서씨 서경순(徐庚淳)...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보혁(李普赫)[1684~1762]의 본관은 용인(龍仁)이고, 자는 성원(聲遠)이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정악(李挺岳), 할아버지는 이세응(李世膺), 아버지는 이의진(李宜振)이다. 이보혁은 조상의 덕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평양부윤이 되었는데, 1725년(영조 1) 비리 혐의로 관리 명부...
-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취옹예술관은 도예가인 김호 관장이 지은 곳으로 김호의 아호인 ‘취옹(炊翁)’[불 때는 사람]을 가져와 이름을 지었다. 특히, 가평을 중심으로 경기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들의 문화적인 여가 활동과 역량있는 지역 작가를 육성하여 여러 분야의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취옹예술관은 소외된 농...
-
경기도 가평군을 상징하는 군조. 꿩은 한자로 치(雉), 야계(野鷄), 개조(介鳥) 등으로 불리며, 우리말로는 수컷을 장끼, 암컷을 까투리라 한다. 꿩과에는 세계적으로 190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꿩은 아시아 동남부에서 중국 동북 지방에 걸쳐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반도와 제주도를 비롯하여 육지와 4㎞ 이상 떨어지지 않은 큰 섬에 분포되어 있으나, 울...
-
경기도 가평 지역 출신 조선 후기~일제 강점기 문신. 남정철(南廷哲)[1840~1916]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자는 치상(穉祥)이고, 호는 하산(霞山)이다. 할아버지는 남준기(南駿冀), 아버지는 남홍중(南弘重)이다. 1840년(헌종 6) 4월 27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청년 시절에는 조상 대대로 살아온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방일리에 거주하였다....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조종암을 왕래하던 조선 후기~개항기 학자. 송진봉(宋鎭鳳)[1840~1898]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자는 치승(致承)이고, 호는 사복재(思復齋)이다. 아버지는 송경옥(宋景玉)이고, 어머니는 언양 김씨(彦陽 金氏) 김상수(金尙修)의 딸이다. 송진봉은 이희석(李僖錫)과 김평묵(金平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고조할아버지 송익호...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시대 문신.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조선 초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오른 이석형(李石亨),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 이혼(李渾...
-
개항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하상태(河相泰)[1868~1909]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치영이다. 하상태(河相兌), 하상태(河尙泰), 하성태(河聖泰)라고도 불리었다. 하상태의 증조할아버지는 병조참판 하상문이며,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하수홍(河受弘)이다. 1868년 11월 23일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 495에서 태어났다. 1906년 가평군수가...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된 조선 후기~개항기 학자. 김평묵(金平黙)[1819~1891]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자는 치장(穉章)이고, 호는 중암(重菴)·겸산(兼山)이다. 할아버지는 김도홍(金道弘), 아버지는 김성양(金聖養)이다. 어머니는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김평묵은 5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13세에는 경서(...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현서(李玄緖)[1791~1862]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자는 치장(穉長)이고, 호는 성수(星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금산군수 이덕린(李德隣), 할아버지는 황주목사 이영배(李永培), 아버지는 대사헌 이문회(李文會)이다. 부인은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아들로는 이근필(李根弼)이 있다. 이현서는 1...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신숙(申肅)[1885~1967]의 본관은 평산(平山), 아명은 연길(連吉), 호는 강재(剛齋)·시정(是丁)·치정(癡丁)이다. 21세 때 이름을 ‘태련(泰鍊)’으로 바꾸었으며, 1920년 4월 해외로 망명하면서 이름을 ‘숙’으로 바꾸었다. 아버지는 의병 활동을 했던 신석범(申錫範)이며, 1885년 12월 29일 경기도...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된 조선 후기~개항기 학자. 유중교(柳重敎)[1832~1893]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호는 성재(省齋), 자는 치정(穉程), 초명은 유맹교(柳孟敎)이다. 아버지는 진사 유조(柳鼂)이고, 어머니는 한산 이씨(韓山 李氏) 이희복(李羲福)의 딸이다. 유중교는 1836년(헌종 2)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
-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정윤성(鄭允誠)[1751~1835]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자는 치중(致中)이고, 호는 백굴재(百掘齋)이다. 아버지는 정달영(鄭達榮)이고, 부인은 전주 류씨(全州 柳氏)이다. 정윤성이 10세 때 아버지가 병으로 누워있으면서 꿩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였다. 정윤성이 꿩을 구하러 밖으로 나갔는데, 마침 솔개...
-
1910년 경기도 가평군에 세운 삼충단에 배향된 순국지사. 조병세(趙秉世)의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치현(穉顯), 호는 산재(山齋)이다.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조유순(趙有淳)이며, 1827년 경기도 가평군 가평면에서 태어났다. 조병세는 음관(蔭官)으로 종9품의 참봉이 되었고,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史官)을 지냈다...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있었던 한국전쟁 중에 세워진 고아원. 친애원은 1952년 한국전쟁 중에 미군 제2사단장 플라이 소장이 당시 옹기 공장이 있던 자리에 전쟁고아들을 위해 설립하여 운영하던 고아원이다. 윤을수 신부가 운영을 맡아 ‘친애원’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친애원의 설립자 윤을수 신부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식 성명[창씨개명] 강요를 거부하며 미국으로 떠났고...
-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에 행하는 세시 풍속. 칠석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오작교(烏鵲橋)를 건너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나는 날로서, 별자리와 관련한 설화가 있는 날이다. 칠석날은 또한 북두칠성에게 수명장수를 기원하기 위해서 밀떡을 부쳐서 장독이나 밭에 놓고 고사를 지내던 날이기도 하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이날 민가에서는 옷을 햇볕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