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기읍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읍. 풍기읍(豊基邑)은 영주시 서북쪽에 있는 읍으로 14개 법정리[성내리, 동부리, 산법리, 미곡리, 삼가리, 욱금리, 금계리, 교촌리, 서부리, 백리, 백신리, 창락리, 수철리, 전구리]와 30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풍기읍행정복지센터는 성내리에 있다. 풍기읍 명칭은 기천현(基川縣)과 은풍현(殷豊縣)에서 유래했다....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내리(城內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성내1리, 성내2리, 성내3리, 성내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성안[城內], 옥대가리(獄垈街里), 서문거리 등이 있다. 성내리 명칭은 성안마을에서 유래했다. ‘성안’은 풍기읍성의 안쪽에 위치하여 불리게 된 지명이다. 1914년 행정구역...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동부리(東部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동부1리, 동부2리, 동부3리, 동부4리, 동부5리, 동부6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구름밭[雲田], 새마[신촌(新村), 새말], 운학동, 토성 등이 있다. 동부리 지명은 옛 풍기군 동부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산법리(山法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산법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술바우골, 산법[산의실, 산내실, 산내곡] 등이 있다. 산법리 명칭은 산법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 북쪽으로 노인봉(老人峰)을 비롯한 산줄기와 서쪽으로 점방재에서 토성마을 앞까지 뻗은 진등(긴등)이 동서로 막혀 있어...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미곡리(味谷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미곡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안마, 웃마, 안맥기실, 바깥맥기실, 거리맥기길, 목기실(木器室), 모계실(牧鷄室) 등이 있다. 미곡리 명칭은 맥기실마을에서 유래했다. ‘맥기실’을 한자로 옮기면서 ‘미(味)’자를 사용하여 ‘미곡리’라 불리게 되었...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삼가리(三佳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삼가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샘밭골[천전곡], 아랫삼거리, 삼가리[삼거리], 당골, 달밭골[월전], 정안동[지안동] 등이 있다. 삼가리 명칭은 삼가리마을에서 유래했다. 비로봉(毘盧峰)[1,439.5m]을 중심으로 형성된 세 갈래 골짜기[당골,...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욱금리(郁錦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욱금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우금[웃금, 욱금]과 영전[영전마] 등이 있다. 욱금리 명칭은 욱양서원(郁陽書院)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서부면 욱금동과 영전동을 병합하여 영주군 풍기면 욱금동이 되었다. 1973년...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계리(金鷄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금계1리와 금계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잿밭[재밭, 잣밭], 금계촌[금계], 부계밭[부용전], 임실, 장선이[장생이, 장시이, 장선동], 쇠바리[우족(牛足), 쇠발이, 소발리], 용천동 등이 있다. 금계리 명칭은 금계촌마을에서 유래했...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촌리(校村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교촌1리와 교촌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교촌[향교마, 향교말], 개보[犬洑], 등구리[둥두들, 등두들, 등고] 등이 있다. 교촌리 명칭은 풍기향교에서 유래했다. 주세붕(周世鵬)이 풍기향교를 정림사지에 옮겨 설치하면서 유래한 지명이다....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백리(白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백1리와 백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희여골[백동], 장수동[장수곡, 장씨동], 미안[모내, 뫼안, 산내], 속계[속포] 등이 있다. 백리 명칭은 옛 풍기군 서부면 백야리(白也里)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서부...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백신리(白新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백신1리와 백신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흰물내기[백수동, 웃마을], 샛터말[샛터, 신기동], 우이실(牛耳室)[우우실] 등이 있다. 백신리 명칭은 백수동(白水洞)과 신기동(新基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서부리(西部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서부1리, 서부2리, 서부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서문밖[성뚝넘어, 성둑넘], 한림촌(翰林村), 참내무백이, 웃서부[상서부] 등이 있다. 서부리 명칭은 옛 풍기군 서부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서부면 고...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창락리(昌樂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창락1리와 창락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창락, 웅수동(熊水洞)[곰수골], 원냉기[원행교] 등이 있다. 창락리 명칭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있던 창락역(昌樂驛)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창락면 대사동, 용수...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수철리(水鐵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수철리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무쇠다리[수철교리(水鐵橋里), 무쇠달, 수철리], 느티쟁이[느티정이] 등이 있다. 수철리 명칭은 무쇠다리에서 유래했다. ‘수철’은 신라시대 선덕여왕 때, 계림호장 유석(留石)이 호랑이로부터 자신의 딸을...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속하는 법정리. 전구리(前丘里)는 영주시 풍기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전구1리, 전구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적전들[윗두들], 앞두들[전구], 옥동 등이 있다. 전구리 명칭은 앞두들마을에서 유래했다. ‘앞두들’은 마을 앞에 언덕과 같은 넓은 들판이 있다 하여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이산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이산면(伊山面)은 영주시 남동쪽에 있는 면으로 봉화군 봉화읍·상면과 이어져 있다. 9개 법정리[원리, 신암리, 지동리, 석포리, 용상리, 신천리, 운문리, 두월리, 내림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산면행정복지센터는 원리에 있다. 이산면 명칭은 이산서원(伊山書院)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리(院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원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한성골[漢城谷], 돌다리골[石橋], 돗밤실[돝밤실, 저율곡, 율곡] 등이 있다. 원리 명칭은 이산서원이 있던 마을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산이면 상구동 일부와 하구동을 병합하여 영주군 이산면...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新岩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신암1리, 신암2리, 신암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삼봉골, 얼음골[빙동], 미륵당[미륵댕이], 송곡, 새마[신촌], 실내[신천], 우금, 배진기[舟津] 등이 있다. 신암리 명칭은 영천군 신천리(新川里)와 말암면(末岩面)에서 유래했다....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동리(池洞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지동1리, 지동2리, 지동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질골[지곡], 남양(南陽), 일우실(逸遇室)[이곡, 이르실], 음지마, 갈밭골[노전], 장수골[저수골] 등이 있다. 지동리 명칭은 지곡에서 유래했다. 1590년(선조 23)경 마을 개척...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포리(石浦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석포1리, 석포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번계[반포], 야일당, 소바우[소암], 흑석[검둥 바우골] 등이 있다. 석포리 명칭은 영천군 흑석동(黑石洞)과 반포동(反浦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말암면 반포동과...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상리(龍上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용상1리, 용상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배해[웃배래, 아랫배해], 어실[어와실, 어위실, 어우실] 등이 있다. 용상리 명칭은 박봉산(璞峰山)[389.3m] 기슭에 있는 용상골에서 유래했다. ‘용상골’은 마을에 용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新川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신천1리, 신천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내매(乃梅), 달내[達川], 새해[新海] 등이 있다. 신천리 명칭은 신계(新溪)와 달천(達川)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어화면 굴천동·천상면 본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문리(雲文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운문1리, 운문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간운[갈논], 알성골[謁聖谷], 장자골[長子谷], 오개미[오가미], 돌티미[돌트미], 조우골[조문동, 조곡], 외우골[와곡, 외골, 와골] 등이 있다. 운문리 명칭은 간운(艮雲)마을과 조문(照文)...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월리(斗月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두월1리, 두월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두들, 시르미[시루뫼, 증산], 덕골, 해맬[호매], 사시골 등이 있다. 두월리 명칭은 두월산(斗月山)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화군 임지면 하외리, 두월리와 중외리 일부를...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림리(內林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림1리, 내림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안수구리, 바깥수구리[평지마을], 녹수골 등이 있다. 내림리 명칭은 마을 안 숲에서 유래했다. 숲이 우거져 ‘내림(內林)’이라 하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화군 임지면의 내림...
평은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평은면(平恩面)은 영주시 남동쪽에 위치한 면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과 녹전면,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과 이어져 있다. 평은면은 7개 법정리[평은리, 강동리, 지곡리, 오운리, 천본리, 금광리, 용혈리]와 15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은면행정복지센터는 평은리에 있다. 평은면 명칭은 조선시대 평은역(平恩驛)에서...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평은리(平恩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평은1리, 평은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평은(平恩)이 있다. 평은리 명칭은 조선시대 평은역(平恩驛)에서 유래했다. ‘평은’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평온하고, 은혜로운 땅이란 뜻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천상면 평은...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강동리(江東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강동1리, 강동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송리원, 금계, 왕머리[王留], 성안[城內], 양잠[養芝庵], 동호[산동막], 동막[독막] 등이 있다. 강동리 명칭은 강성동(江城洞)과 동막리(東幕里)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곡리(芝谷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지곡1리, 지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지신동[芝信洞, 芝薪洞], 서당곡(書堂谷), 사장골[沙場谷], 삼밭골[麻田谷] 등이 있다. 지곡리 명칭은 지신동과 서당곡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천상면 서당동, 마전...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운리(梧云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오운1리, 오운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연당골[蓮塘], 평지마, 곳집마[庫舍洞], 삼거리, 예고개[古峴], 지점골, 양지마 등이 있다. 오운리 명칭은 오동리(梧洞里)와 하운동(下云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천본리(川本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천본1리, 천본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용각, 멀내[末川], 외두들[瓦坪], 학바우[鶴巖], 서원골, 망월, 내매 등이 있다. 천본리 명칭은 천상면과 본리(本里)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천상면 말천동, 망...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광리(金光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금광1리, 금광2리, 금광3리로 구성되어 있다. 금광리 명칭은 마을을 감싸 흐르는 내성천의 물결이 비단 같아 마을 이름을 ‘금강(錦江)’이라 하였으나 후에 ‘금광(金光)’으로 바뀌었다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진혈면 금광동이...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혈리(龍穴里)는 영주시 평은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용혈1리, 용혈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미림, 납들고개[직곡(直谷)], 용추, 놋점[유점(鍮店)], 시낼[신천(新川)], 주누골 등이 있다. 용혈리 명칭은 남쪽에 있는 용소(龍沼) 바위의 구멍으로 용이 내려와 들어갔다는 전설에서 유래했...
문수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문수면(文殊面)은 영주시 남쪽에 있는 면으로 안동시 북후면, 예천군 보문면과 이어져 있다. 9개 법정리[승문리, 만방리, 적동리, 권선리, 월호리, 대양리, 탄산리, 수도리, 조제리]와 16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문수면행정복지센터는 적동리에 있다. 문수면 명칭은 조선시대 문수원(文殊院)에서 유래했다....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승문리(繩門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승문1리, 승문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막지고개[막현, 돌문이], 점골[점촌], 도래[석천], 걸가, 붓목 등이 있다. 승문리 명칭은 영천군 적포면의 승평동(繩坪洞)과 석문동(石門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방리(萬芳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만방1리, 만방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한정[한정이], 종릉, 우무실[우곡], 자마이[자만], 아랫마, 양지마, 음지마, 새배이[쇄배이, 새뱅이, 신방] 등이 있다. 만방리 명칭은 자만동(者萬洞)과 신방동(新芳洞)에서 유래했다. 191...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적동리(赤東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적동1리, 적동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적동, 보팔[본마], 양달몰, 음달몰, 사느네[사천, 사느래], 장바우[장암], 탑거리[탑동] 등이 있다. 적동리 명칭은 마을 옆 붉은 바위[적벽암(赤壁岩)]에서 유래했다. 적벽의 동쪽이 되므로...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권선리(權先里)는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권선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고란골[고란곡, 난곡], 뒷골[후곡], 권선발 등이 있다. 권선리 명칭은 영천군 권선면(權先面)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권선면 본리 일부가 영주군 문수면 권선리가 되었다. 1980년 4월 1일...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호리(月呼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월호1리, 월호2리, 월호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다락골[월곡], 주안[성잠동], 기와고개[개와고개, 와현], 새마을[새마, 신촌], 원정골[원창], 방석[반석], 노트리[승평] 등이 있다. 월호리는 마을 뒷산의 형국이 반달 같다고 하...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양리(大陽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대양1리, 대양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전닷[전도, 도촌], 문고개[문현], 궁터[궁기] 등이 있다. 대양리는 햇볕이 잘 드는 양지바른 마을을 뜻한다. 기존 ‘벌사(伐賜)’라는 명칭이 어감이 좋지 않고, 뜻도 이상해 2008년 ‘벌사리...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탄산리(炭山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탄산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머름[머럼, 멀원, 원암], 술미[하탄], 몽동골[무동골, 무동곡] 등이 있다. 탄산리 명칭은 술미에서 유래했다. 예전에 숯을 굽는 사람이 많이 살아 ‘숯뫼’라 했으며 발음이 변해 ‘술미’가 되었고, 한자어로 바꾸어...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도리(水島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수도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무섬[수도], 소드리[송평] 등이 있다. 수도리 명칭은 내성천이 마을의 3면을 감싸 안고 흐르고 있는 모습에서 유래했다. 마을이 물속 섬과 같다 하여 ‘무섬’이라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진혈...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제리(助梯里)는 영주시 문수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조제1리, 조제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잔도리[잔두리, 작평], 샛골[사이골, 간곡], 분계, 삼계[세거리], 금영골[금영곡], 멱실[이곡] 등이 있다. 조제리 명칭은 잔도리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이 높은 곳에 위치하고 계곡이 긴 관계...
장수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장수면(長壽面)은 영주시 남서쪽에 있는 면으로 예천군 감천면과 이어져 있다. 8개 법정리[갈산리, 두전리, 반구리, 성곡리, 소룡리, 파지리, 호문리, 화기리]와 20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수면행정복지센터는 반구리에 있다. 장수면 명칭은 조선시대 장수원(長壽院)에서 유래했다. 장수원은 지금의 영주시 장수면 화...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반구리(盤邱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반구1리, 반구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반구[반구들], 저리미[계림], 독질바우 등이 있다. 반구리 명칭은 마을의 산에서 유래했다. 의성김씨 선산 터가 연화부수(蓮花浮水)의 소반(盤)과 같다고 해서 ‘반구(盤邱)’ 또는 ‘반두들’이라...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전리(豆田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두전1리, 두전2리, 두전3리, 두전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반지미[반산, 반짐이], 띳밭[모전], 음달마을, 서낭골[성황곡], 고지골, 경림이[경림], 이르실[일계실], 가래[가내, 가천] 등이 있다. 두전리 명칭은 지역의 밭에서 유...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갈산리(葛山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갈산1리, 갈산2리, 갈산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갈미[상갈, 윗갈미], 돌마람[석천, 석종], 장구목이[금원], 바우실[바디, 바디실], 오룡계, 아랫갈미[하갈], 성골[성곡], 새마 등이 있다. 갈산리 명칭은 갈산(葛山)에서 유래했...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파지리(芭芝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파지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바우실[파지, 암실]이 있다. 파지리 명칭은 바우실에서 유래했다. ‘바우실’은 가마 바위 아래의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 표기하면서 ‘파지(芭芝)’로 옮겨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용산면...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곡리(星谷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성곡1리, 성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배태[성곡], 못골[지동], 의산 등이 있다. 성곡리 명칭은 배태마을에서 유래했다. 배태마을은 마을의 위치가 말의 배에 두른 띠 부분에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별태(別太)’로도 불렀는데...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기리(花岐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화기1리, 화기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꽃계[화계], 물미[퇴산], 장수원 등이 있다. 화기리 명칭은 화계(花溪)마을과 마을 뒷산인 기산(岐山)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호문면 화기동 일부가 영주군 장수면...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룡리(小龍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소룡1리, 소룡2리, 소룡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호구실[호고촌], 건능골, 미울[미호], 소룡산 등이 있다. 소룡리 명칭은 소룡산(小龍山)에서 유래했다. 옛날 마을 뒷산에 용 두 마리가 날아와 큰 용은 현 영주시 안정면으로 날아가고...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문리(好文里)는 영주시 장수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호문1리, 호문2리, 호문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곰실[웅곡], 토계[옥계], 범등골[호계], 보통골[박성곡, 배함동, 녹동] 등이 있다. 호문리 명칭은 옛 영천군 호문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호문면 웅...
안정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안정면(安定面)은 영주시 중앙에 있는 면으로 14개 법정리[신전리, 생현리, 봉암리, 용산리, 여륵리, 묵리, 내줄리, 일원리, 안심리, 옹암리, 단촌리, 대평리, 오계리, 동촌리]와 23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안정면행정복지센터는 신전리에 있다. 안정면 명칭은 옛 풍기군의 별호인 ‘안정(安定)’에서 유래했다....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전리(新田里)는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신전1리, 신전2리, 신전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살포쟁이[살포정, 거포정], 새기실[신전], 미감[매갑] 등이 있다. 신전리 명칭은 신전마을에서 유래했다. 새로 개척된 마을이라는 의미로 붙여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생...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생현리(生峴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생현1리, 생현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사실고개[생고개, 생현], 백부이[백분], 황새목이, 큰골[대곡] 등이 있다. 생현리 명칭은 생현마을에서 유래했다. ‘생현’은 마을의 위치가 사실고개 밑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암리(鳳岩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봉암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봉암, 양지마을 등이 있다. 봉암리 명칭은 뒷산에 있는 부엉바위[부엉바우, 부암, 봉암]에서 유래했다. 한편 마을 뒤편 바위를 깨니 봉황이 나왔다 하여 ‘봉암’이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산리(龍山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용산1리, 용산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어은골[어약], 섬마, 고촌, 재실, 대촌, 사계 등이 있다. 용산리 지명은 옛 풍기군 용산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용산면 도촌동, 어약동, 대촌동을 병합하여 영...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륵리(汝勒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여륵1리, 여륵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사무실[미곡], 너르기[여르기, 광천, 사물], 서당마, 미산, 탑골[탑곡] 등이 있다. 여륵리 명칭은 너르기[汝勒]에서 유래했다. 용암산을 말의 머리라고 보고 주마산을 말의 등이라고 보았을 때...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리(墨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묵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까막골[가막골, 묵리], 노루모기[장현], 새터마[새마, 신기동, 새마을], 항고개[한고개], 반지미[반산, 윗반지미, 안정반지미] 등이 있다. 묵리 명칭은 까막골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줄리(內茁里)는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줄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속줄포[내줄, 내줄포, 골줄포], 동명[대추골], 점마 등이 있다. 내줄리 명칭은 내줄마을에서 유래했다. 조선 인조 때 나주정씨(羅州丁氏)들이 강원도 원주에서 이곳으로 이주해 오면서 줄풀이 무성해 ‘줄포’라고 붙여졌다고...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일원리(逸園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일원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선바우[선돌, 입석], 닥밭[저전, 딱밭, 일언, 일원] 등이 있다. 일원리 명칭은 조선시대 일언리(日彦里)에서 유래했다. ‘일언리’는 일제강점기 편안한 지역을 의미하는 ‘일원(逸園)’으로 고쳤다. 1914년 행정...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심리(安心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안심1리, 안심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안심, 샛골[간곡, 사잇골], 엉고개, 서재골[서재], 바깥서재골 등이 있다. 안심리 지명은 안심마을에서 유래했다. ‘안심’은 기름지고 넓은 토지가 있어 주민들이 안심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옹암리(甕岩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옹암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독바우[옹암], 선돌[입석] 등이 있다. 옹암리 명칭은 독바우마을 뒤에 있는 독바위[甕岩]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동촌면의 옹암동과 안심동 일부를 병합하여 영주군 안정면 옹암동이 되었...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촌리(丹村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단촌1리, 단촌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백골[백곡, 잣골], 저술[저송], 홈다리[홍교] 등이 있다. 단촌리 지명은 옛 풍기군 단촌리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동촌면 회송동과 홍교동·단촌동·오산동 각 일부...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평리(大坪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대평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대평, 새마 등이 있다. 대평리 지명은 대평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 앞 들판이 크고 넓어서 ‘대평’ 또는 ‘한들’이라고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동촌면 대평동과 홍교동·단촌동의 각 일부를 병...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계리(梧溪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오계1리, 오계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오미[오산, 오계], 교촌 등이 있다. 오계리 지명은 오계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 뒷산에 오동나무가 많다 하여 ‘오산(梧山)’, ‘오계’라고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동촌...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촌리(東村里)는 영주시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동촌1리, 동촌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피끝[핏끈], 조개섬 등이 있다. 동촌리 지명은 옛 풍기군 동촌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동촌면 합도동, 우음동과 아지동 일부를 병합하여 영주군 안정면 동촌동이 되...
봉현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봉현면(鳳峴面)은 영주시 서북쪽에 있는 면으로 북쪽으로는 영주시 풍기읍, 남쪽으로는 예천군 감천면, 서쪽으로는 예천군 상리면과 하리면, 동쪽으로는 영주시 안정면과 장수면과 이어져 있다. 7개 법정리[두산리, 오현리, 대촌리, 한천리, 유전리, 노좌리, 하촌리]와 18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봉현면행정복지센터는 오현리에 있다...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산리(斗山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두산1리, 두산2리, 두산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주치골[朱致谷, 두치골], 소미[牛山, 우산리, 소뫼], 수용골[水龍谷], 홍정골[洪井谷], 꺼치네[居親愛, 거천리], 지경터 등이 있다. 두산리 명칭은 두치동(斗致洞)과 우산동(牛山洞...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현리(梧峴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오현1리, 오현2리, 오현3리, 오현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오향골, 엄고개[奄峴], 자갈모래이[밤소, 밤수산골], 까치섬[자만], 뒤밭[모전, 띠밭], 윗뒤밭, 갈목재 등이 있다. 오현리 명칭은 오향골[梧香谷]과 엄현동(奄峴洞)에서...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촌리(大村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대촌1리와 대촌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와룡골[臥龍谷, 대촌], 백부이[백분, 윗백부이], 주성골[珠星谷, 주송골] 등이 있다. 대촌마을 개울 건너 지형이 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와룡골’이라 했다. 와룡골은 마을이 크므로...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한천리(寒泉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한천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무래이골[水寒洞, 물한], 샘골[泉谷], 듬범리[등동리, 범채이] 등이 있다. 한천리 명칭은 수한동(水寒洞)과 천동(泉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풍기군 와룡면 수한동·천동과 대촌동 일부를 병...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유전리(柳田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유전1리와 유전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진밭[泥田], 버드래이[柳陰洞, 버드래미], 주막거리[송정골], 힛트재[히티재, 재말, 힛트재말], 짤드매기[月峴, 달뜨매기] 등이 있다. 유전리 명칭은 유음동(柳陰洞)과 이전동(泥田洞)에서 유...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좌리(魯佐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노좌1리, 노좌2리, 노좌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노재이[奴者, 魯佐], 사리미[士林里, 백산동], 새마[새말, 새마을], 추월당, 다리목[多來村, 다래골], 상마[上村], 중말[중마을] 등이 있다. 노좌리 명칭은 노재이마을에서 유래했...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촌리(下村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하촌1리, 하촌2리, 하촌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하촌(下村)[화촌], 한티[汗峴], 배골[梨谷], 새터마[새터말], 배리들[벼루들] 등이 있다. 하촌리 명칭은 하촌마을에서 유래했다. 하촌마을은 원래 큰 못에 연꽃이 많이 피어 꽃마을이...
순흥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순흥면(順興面)은 영주시 북쪽에 있는 면으로 북쪽으로는 영주시 단산면, 북서쪽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남서쪽으로는 영주시 풍기읍과 안정면이 이어져 있다. 8개의 법정리[태장리, 지동리, 석교리, 읍내리, 내죽리, 청구리, 배점리, 덕현리]로 구성되어 있다. 순흥면행정복지센터는 읍내리에 있다. 순흥면 명칭은 고...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태장리(台庄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태장1리, 태장2리, 태장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상태장, 중태장, 하태장[지경터], 한상골, 거묵골[墨谷] 등이 있다. 태장리 명칭은 고려시대 충렬왕, 충숙왕, 충목왕의 안태지(安胎地)에서 유래했다. 삼공(三公)을 뜻하는 태(台)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동리(池洞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지동1리, 지동2리, 지동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못골[지동리], 재배이[再芳], 꽃가리, 밤쑤, 죽동, 호방골, 다래실 등이 있다. 지동리 명칭은 못골에서 유래했다. 목동지, 지곡지, 재방지, 지동못 등 못[池]이 많아 ‘지동(池洞)...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石橋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석교1리와 석교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돌다리[석교], 웃돌다리[후촌], 동호리, 서당마[당촌] 등이 있다. 석교리 명칭은 돌다리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에 돌로 만든 다리가 있으므로 ‘석교’라 불렀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마을의 형상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읍내리(邑內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읍내1리, 읍내2리, 읍내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서부[衙薪], 학다리[학교], 사현정 등이 있다. 읍내리 명칭은 옛 순흥도호부 읍치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대평면 아신리, 봉양리, 성하리, 사현정리와 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죽리(內竹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죽1리, 내죽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속시이[속수], 원단촌, 백운동 등이 있다. 내죽리 지명은 옛 순흥군 내죽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내죽면 속수리, 원촌리, 죽촌리를 병합하여 영주군 순흥면 내죽리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구리(靑邱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청구1리, 청구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놋점[옥계], 여근동[광문동] 등이 있다. 청구리 명칭은 옛 순흥군 내죽면 지역을 청구들이라 부른 데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내죽면 옥계리와 여근리를 병합하여 영주군...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배점리(裵店里)는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배점1리, 배점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삼괴정, 웃평장개[上平], 배점[원배점], 뒤실[후곡] 등이 있다. 배점리 명칭은 배점마을에서 유래했다. ‘배점(裵店)’은 이황의 제자 배순이 대장간을 하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현리(德峴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덕현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덕고개[덕현], 추목동, 점마 등이 있다. 덕현리 명칭은 덕고개마을에서 유래했다. 조선시대 박동수라는 선비가 처음 마을을 개척할 때, 마을 옆 고개에서 다래와 머루를 따 먹으며 허기를 면한 후 이 고개에 덕(德)이...
단산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단산면(丹山面)은 영주시 북쪽에 있는 면으로 북쪽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남쪽으로는 영주시 조와동과 안정면, 서쪽으로는 영주시 순흥면, 동쪽으로는 영주시 부석면이 이어져 있다. 8개 법정리[동원리, 사천리, 구구리, 병산리, 단곡리, 옥대리, 좌석리, 마락리]와 1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단산면행정복지센터는 옥대리...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원리(東元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동원1리와 동원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자부이[자봉], 등영, 구미, 오상 등이 있다. 동원리 명칭은 옛 순흥군 동원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동원면 구미리, 오상리와 등영리·구구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영...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천리(沙川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사천1리와 사천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새내[사천], 띠기[모계], 바우[상암, 파회] 등이 있다. 사천리 명칭은 사천마을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동원면 사천리와 상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주군 단산면 사천...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구리(九邱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구구1리, 구구2리, 구구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오현, 가자골[가재골], 구구들[구구, 구고], 배나무실[이곡] 등이 있다. 구구리 명칭은 구구마을의 지형에서 유래했다. 조선시대 달성서씨와 남양홍씨가 처음 개척하였는데, 이때 들판이...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병산리(屛山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병산1리, 병산2리, 병산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병산, 점마, 행갈[대지리], 새터[신기], 서창, 방다리[방달] 등이 있다. 병산리 명칭은 병산마을의 지형에서 유래했다. 병산마을에서 대지리로 가는 뒷골의 지형이 병목처럼 생기고 병...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곡리(丹谷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단곡1리, 단곡2리, 단곡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진막, 웃질막[상단곡], 알남[안남], 두레골 등이 있다. 단곡리 명칭은 단곡(丹谷) 곽진(郭瑨)[1568~1633]이 살던 곳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단...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옥대리(玉帶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옥대1리, 옥대2리, 옥대3리, 옥대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안질[안지], 옥대, 원옥대, 안안질[내지곡, 금대], 소리실[성곡], 원덩이[원통] 등이 있다. 옥대리 명칭은 원옥대마을에서 유래했다. 산의 능선이 옥띠와 같이 곧게 뻗어...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좌석리(坐石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좌석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상좌석, 하좌석, 독점, 조재기, 연화동 등이 있다. 좌석리 명칭은 마을 중간 논에 있는 앉은 바위[좌석]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단산면 조작리, 삼거리, 좌석리를 병합하여 영주군 단산...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락리(馬落里)는 영주시 단산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마락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홈통골, 법수동, 도화동, 섶밭[신전], 성재 등이 있다. 마락리 명칭은 마을의 설화에서 유래했다. 옛날에 상인이 말에 짐을 싣고 이곳에 있는 큰 바위로 된 절벽을 지나다 광풍으로 절벽에서 굴러떨어졌는데도 말이 죽지...
부석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부석면(浮石面)은 영주시 북동쪽에 있는 면으로 북쪽으로는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동쪽으로는 봉화군 봉화읍, 남서쪽으로는 영주시 단산면과 이어져 있다. 10개 법정리[남대리, 북지리, 임곡리, 소천리, 노곡리, 용암리, 우곡리, 상석리, 감곡리, 보계리]와 22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부석면행정복지센터는 소천리에 있다....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대리(南大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남대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남대, 텃골[기곡, 텃실], 짐또배기[짐때배기, 마지천리, 마흘천], 샛터[상신기], 소란[솔안, 송내], 중마[중리] 등이 있다. 남대리 명칭은 남대궐(南大闕)에서 유래했다. 조선시대 순흥으로 귀양 온 금성대군이...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북지리(北枝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북지1리와 북지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갓띠[관대], 송두들[속두들, 송고], 방골[방동], 허뭇거리[허문거리, 신기] 등이 있다. 북지리 명칭은 마을의 지형에서 유래했다. 마을 북쪽에 소백산이 있어 북(北) 자와 지(枝) 자를 따...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임곡리(林谷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임곡1리와 임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숲실[임곡], 곳마[곳집마, 고촌], 한밤실[대율], 쇳골[샘골], 덕거리, 당두들[당고] 등이 있다. 임곡리 명칭은 임곡마을에서 유래했다. 숲이 울창하여 ‘숲실’ 또는 ‘임곡’이라 불렀다고 한...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천리(韶川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소천1리, 소천2리, 소천3리, 소천4리, 소천5리, 소천6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소내[쇠내, 소천, 우천], 남산, 달터[월대], 두들마, 물구지[수양동], 봉래, 사그랭이[사문, 상사문], 진골[장곡], 탑평[탑들], 새마을, 제궁터 등이...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곡리(魯谷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노곡1리와 노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두신[두곡], 남자일[남절, 남사동, 남제일], 듬실[두문], 은행정, 망골, 양지마[양중동], 중마[노실, 너곡, 너걱, 노곡], 새터[신기, 새텃마] 등이 있다. 노곡리 명칭은 옛날 마을에...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암리(龍巖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용암1리와 용암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화부(花釜), 망가매[만갑, 망감], 새두들[봉구], 새말[신촌], 용바우[용암], 재궁물 등이 있다. 용암리 명칭은 용암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 입구에 용머리 형상의 바위가 있어서 ‘용바우’라...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곡리(愚谷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우곡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무덤실[매곡], 할미골[비곡, 비기실], 우수골[우곡], 매암정[맴정] 등이 있다. 우곡리 명칭은 우수골에서 유래했다. 자기 동리(洞里)를 낮추고 다른 동리를 높인다는 뜻에서 ‘우수골’ 또는 ‘우곡(愚谷)’이라 하...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석리(上石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상석1리와 상석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수사(水沙), 정재마[정자], 도탄[석탄], 솔안[송내], 감살미[감산, 학마을], 들마[평촌], 고산[高山, 孤山] 등이 있다. 상석리 명칭은 석탄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 앞 개울 바닥이 온통...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곡리(甘谷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감곡1리와 감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감실(監室)[감곡], 도봉[도부랑], 석남, 안산, 옻밭[칠전], 영모암[永慕岩, 影慕岩, 靈慕庵], 선바우[입암], 둔전마, 범바위 등이 있다. 감곡리 명칭은 감실마을에서 유래했다. 옛날 마을...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보계리(寶溪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보계1리와 보계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보계[보교], 보계실[원보계], 광창[광챙이, 광릉동천, 광릉, 광창이], 불바우[뿔바위, 각암], 상모치, 중모치, 하모치, 후바우[오룡동], 응징이[응정], 제궁마[제궁촌, 제궁골], 점마 등이 있다....
영주 시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상망동(上望洞)은 영주 시내 북동쪽에 있으며, 행정동 역시 상망동이다. 자연마을로는 망동[보름골], 윗보름골, 갱변마[강변마을], 웃무골[웃무리], 못골[池洞, 목골], 단운(丹雲), 진펄리골, 동짝골[동쪽골], 사례(寺禮), 재건주택, 방산 등이 있다. 상망동 지명은 옛 영천군 봉향면 상망동에서 유래했다. 보름골...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하망동(下望洞)은 영주 시내 동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하망동과 상망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망동[보름골], 아랫보름골, 원댕이[元塘], 쇠지골[쇠죽골, 서자곡], 용암대(龍岩坮) 등이 있다. 하망동 명칭은 옛 영천군 봉향면 하망동에서 유래했다. 보름골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보름골 또는 하망이라고 했다. 1914년 행...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조와동(助臥洞)은 영주 시내 북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상망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진우(眞友)[조와리], 오룡골, 갓골 등이 있다. 조와동 명칭은 마을 뒷산의 형상에서 유래했다. 마을 뒷산의 형상이 소가 누워있는 듯하여 ‘조와(助臥)’라 불렀다고 한다. 또 이 지역을 개척한 두 명의 선비들이 우애가 깊어 ‘진우(眞...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영주동(榮州洞)은 영주 시내 중심에 있으며, 행정동은 영주1동과 영주2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신사골, 숫골, 관사골, 두서(斗西, 杜西)[뒤새], 성밑[성저, 성하], 구호동 등이 있다. 영주동 명칭은 일제강점기 영주면 소재지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봉향면 하망동·성저동 각 일부와...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휴천동(休川洞)은 영주 시내 중심에 있으며, 행정동은 휴천1동, 휴천2동, 휴천3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광승(廣昇)[광심이, 광성], 남간(南澗), 구서원(舊書院), 장방골[胥吏], 지천, 삼각지 등이 있다. 휴천동 지명은 마을 앞 서천에서 유래했다. 마을 앞의 서천이 자주 말랐기 때문에 ‘휴천’이라 하였다고 전...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적서동(赤西洞)은 영주 시내 남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휴천3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방갓[율지], 서원마, 연동골, 아치나리[娥川, 鵝川], 거촌[큰 마을] 등이 있다. 적서동 명칭은 마을 옆에 있는 붉은 바위에서 유래했다. 적벽암(赤壁岩)의 서쪽이 되므로 ‘적서(赤西)’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조암동(槽岩洞)은 영주 시내 남동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휴천3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옹기점, 수청거리[水淸], 노루고개[獐峴], 행재골[형제골], 전단(箭丹)[전계], 사일(沙日, 沙逸) 등이 있다. 조암동 명칭은 마을 인근에 있는 술바위[槽巖]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산이면 상구동...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가흥동(可興洞)은 영주 시내 서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가흥1동과 가흥2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도화동, 한절마[大寺洞], 대부내[大富川, 대부촌] 등이 있다. 가흥동 명칭은 옛 영천군 가흥면(可興面)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가흥면 하줄동과 대사동을 병합하여 영주군 영주면 가흥리가 되었...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문정동(文亭洞)은 영주 시내 남서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가흥1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문전, 한정, 목골[牧谷, 牧溪], 서릿골[반곡], 성지미[성짐, 성잠] 등이 있다. 문정동 명칭은 문전(文田)마을과 한정(寒亭)마을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가흥면 상초동과 하초동을 병합하여 영주군...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고현동(古峴洞)은 영주 시내 북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가흥2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귀내, 새마, 상현[장수고개] 등이 있다. 고현동 명칭은 고천동(古川洞)과 상현동(商峴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망궐면 고천동과 상현동을 병합하여 영주군 영주면 고현리가 되었다. 1940년 11월 1...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상줄동은 영주 시내 서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가흥2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줄포(茁浦)[상줄], 솔안말[솔안마], 서당마, 필두(筆頭)[필대] 등이 있다. 상줄동 명칭은 옛 영천군 가흥면 상줄동(上茁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가흥면 상줄동·풍기군 생현면 내줄동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영...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아지동(阿芝洞)은 영주 시내 북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가흥2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아지골이 있다. 아지동 명칭은 아지골에서 유래했다. 처음 마을을 개척할 당시에는 잠시 쉬어간다는 의미에서 ‘지산(芝山)’이라 하였으나 삼수당(三秀堂)을 지은 후에는 아주 정착한다는 의미로 ‘아지골’이라 하였다고 전해온다. 1914년...
-
경상북도 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창진동(昌津洞)은 영주 시내 북쪽에 있으며, 행정동은 가흥2동에 속한다. 자연마을로는 삼진(三津)[서늘기, 세내기], 아랫서늘기, 창보(昌保)[창부] 등이 있다. 창진동 지명은 창보동(昌保洞)과 삼진동(三津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천군 망궐면 창보동과 삼진동을 병합하여 영주군 영주면 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