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344
한자 啓蒙運動
영어공식명칭 Enlightenment Movement
이칭/별칭 애국계몽운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권대웅

[정의]

1905년부터 1910년까지 영주 지역에서 전개된 국권회복운동.

[개설]

계몽운동(啓蒙運動)은 갑신정변과 독립협회운동으로 대표되는 개화자강계열의 민족운동을 계승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을 계기로 개화자강계열의 지식인들은 국권 회복을 위한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전국적으로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 등이 있다. 또 계몽운동의 유형으로는 국권 회복을 위한 신교육구국운동, 산업진흥운동, 국민계몽운동이 있다. 상대적으로 계몽운동이 미약했던 영주 지역의 경우 국권 회복을 위한 신교육구국운동 위주로 살펴볼 수 있다.

[영주 지역 계몽운동의 특징과 배경]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의병항쟁과 별개로 혁신적인 사상과 행동을 바탕으로 한 각종 계몽운동이 전개되었다. 영주 지역의 지식인 세력인 유림 중 일부는 의병항쟁을 지속했으며, 또 일부는 상경을 통해 계몽운동에 동참하기도 했다. 그런데 영주 지역의 계몽운동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편이다.

1905년 이후 계몽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경상도 각 지역에서도 중앙의 계몽운동단체 지방지회와 더불어 독자적인 계몽운동단체가 결성되었지만, 영주 지역에서는 별도 지회나 독자적인 단체가 확인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904년 8월경 재경 관인들과 재야 유생층이 조직한 비밀결사조직 충의사(忠義社)에는 안동을 중심으로 인근 고을의 여러 인사가 참여하였으나, 영주 출신으로는 박교영(朴敎榮) 한 사람 정도만 확인된다. 다만, 서울에서 조직된 교남교육회(嶠南敎育會) 소속 영주 출신 인사들의 신교육구국운동을 중심으로 영주 지역의 계몽운동을 이해할 수 있다.

[영주 지역 교남교육회 회원의 신교육구국운동]

1908년 3월 서울에서 활동하던 영남 출신 인사들이 상호 간 친목과 계몽사상 보급을 목표로 교남교육회를 조직하였는데, 이때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던 영천(榮川)·순흥·풍기 출신 인사들도 다수 회원으로 참여하였다.

당시 영천 출신 회원으로는 이병헌(李秉憲)·김숙(金塾)·김병철(金秉喆)·이긍호(李兢鎬)·정규집(丁奎集)·장두규(張斗奎)·송상갑(宋相甲)·박병철(朴병哲)·권대찬(權大鑽)·송상섭(宋相燮)·권상두(權相斗)·김홍규(金洪奎)·김인식(金仁植)이 확인된다. 순흥 출신으로는 김낙순(金洛純)·이윤갑(李潤甲)·김교명(金敎明)·이인명(李寅明)·신언집(申彦集)·김교림(金敎林)·정호익(鄭鎬益)·송주면(宋柱冕)·이만하(李晩夏)·신두균(申斗均)·이휘실(李彙實) 등이 확인된다. 풍기 출신으로는 황윤덕(黃潤德)·김종수(金鍾洙)·김재종(金在鍾)·황도흠(黃道欽)·김경연(金慶淵)·김한병(金漢柄)·김중배(金重培)·이풍환(李豊煥)·권병선(權丙宣)·윤길선(尹吉善)·장상희(張相喜)·이인수(李寅洙)·신태승(申泰昇)·신희균(申禧均)·한상오(韓相五)가 참여하고 있었다.

영주 출신 교남교육회 회원들은 주로 을미의병 이후 상경 활동하던 유림이거나 전·현직 관인들이었다. 이들은 주로 영주 지역 일대에 세거하던 양반 사족 출신으로 을미의병 이후 상경하여 일찍부터 계몽사상을 접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순흥 출신의 교남교육회 회원 김교명은 1896년 을미의병 때 풍기의진(豊基義陣) 창의장이었고, 신언집은 을미의병 때 순흥의진(順興義陣)의 부약장 및 소모장이었던 신태운(申泰雲)의 아들이었다. 김교림은 참봉으로서 그의 아버지 역시 을미의병에 참여하였었다. 이휘실 역시 유생 출신으로 을미의병 활동 이후 상경한 인사였다.

관인 출신으로는 풍기군수를 역임한 김숙, 청송군수를 거쳐 풍기군수를 역임한 권병선이 있다. 특히 권병선은 1908년 이인수와 안정학교(安定學校)를 설립하였다. 김낙순은 개항기 때 박사를 역임하였으며, 영천 출신 정규집은 자릉참봉을 지낸 인물이다.

한편, 1907년 설립되는 사립소흥학교(私立紹興學校)는 교남교육회가 신교육구국운동의 목표하에 설립한 신교육기관으로 주목된다. 사립소흥학교의 교감 정호익, 교사 이윤갑·이만하·송주면 등은 모두 교남교육회 회원으로 신교육을 이수한 인물이다. 특히 교사 이윤갑은 1903년 한성사범학교 입학하였고, 교동보통학교 교원과 계동보통학교 교원 등을 거쳐, 1908년 사립소흥학교의 교사로 부임한 후, 교남교육회의 설립 취지를 직접 실천한 인물로 주목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