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관청 마을이 자리하고 있던 관교동과 문학동은 고려 시대 이전부터 인천의 중심지였으며 인천도호부 관아 소재지였다. 예부터 인천도호부 관아와 그 부속 건물이 자리 잡고 있었으므로 관청 마을이라고 불렸다. 이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 현재의 관교동이다. 관교란 관청과 향교가 있었음을 뜻한다. 1906년 인천읍 읍내리가 관청리와 향교리로, 동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대지기 마을이었던 곳은 2012년 현재 제물포역 주변이다. 제물포역의 옛 도로에는 현재 복사점에 PC방, 그리고 간이식당과 세탁소 등이 있다. 옛길은 역 광장에서 잠시 끊어졌다가 인화 여자 상업 고등학교[지금의 인화 여자 고등학교] 교문에서 다시 시작되어 학교의 벽돌 담장을 끼고 길게 이어졌다. 이런 옛길은 도화 시장으로 말미암아 미...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산 입구 지역 일대를 일컫는 옛 지명. 도마 다리가 있던 지역은 구한말 인천부 다소면에 속했으며, 1903년 인천부가 동네 이름을 확정할 때 도마 다리가 있는 지역을 도마교리(道馬橋里)로 불렀다. 일제 강점기에 도마교리의 ‘도’와 이웃 화동(禾洞)의 ‘화’를 따서 도화리가 되었으며, 광복 후에는 도화동으로 부르게 되었다. 도마 다리는 다리의 이름일 뿐 아니...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에 있던 개천의 다리에서 유래된 이름. ‘독각’ 또는 ‘독갑’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첫째는 ‘긴 널조각 하나로 걸쳐 놓은 외나무다리’라는 뜻의 우리말 ‘쪽다리’ 또는 외나무다리를 뜻하는 ‘독각(獨脚)’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둘째는 옛날 이곳이 바다와 닿아 있다 보니 해상 거래가 편리해 자연스레 모인 옹기장수들이 독을 사고 팔 때 주고받던 독...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의 인천 향교 주변에 있었던 우물. 우물의 모양이 항아리처럼 깊으면서 물이 잘 나온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974년 이강로의 「인천시 남구 지역 땅 이름의 조사 연구」에 의하면, 당시에도 독우물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주택 단지 개발로 인해 우물이 없어졌다. 독우물은 인천 향교의 남쪽 논 가운데 있었다는 것은 알 수 있으나, 현재 그 정확한...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에 있던 자연 마을. 오늘날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지역은 구한말까지만 해도 비랑이 마을 또는 비랭이 마을이라고 불렸다. 비랭이 마을의 유래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존재한다. 첫째는 비룡리(飛龍里)가 잘못 전해져서 생긴 이름이라는 것이다. 둘째는 지금의 용현동의 상당 부분이 인천항 개항 뒤에 바다를 매립해서 생긴 땅으로 옛날 이 앞바다에서 “장마 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문학산의 남쪽에 있었던 마을. 산삿골은 마을에 있는 골짜기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미추왕이 도읍을 정하고 산성을 쌓았는데, ‘산성’이란 말이 바뀌어서 ‘산사’가 되었다고 추측된다. 1974년 이강로의 「인천시 남구 지역 땅 이름의 조사 연구」에 의하면, 당시 문학 출장소[현 문학동 행정 복지 센터] 서남쪽 버스가 다니는 길 건너편에 있는 문학산 기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던 자연 마을. 문학동 주민 센터에 따르면 2012년 1월 현재 예전의 산성 마을 지역에는 모두 1,209세대에 2,20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산성 마을은 문학산성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문학동은 옛날에는 성촌(城村), 남산(南山)으로 불렸다. 1903년 8월에 서촌산성리(西村山城里), 남산리(南山里)로 구분되었으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학산 마을 뒤 배 바위 아래에 있었던 우물. 이강로의 「인천시 남구 지역 땅 이름의 조사 연구: 남촌·선학·연수·청학·동춘·문학·관교동」에 의하면, 산신 우물은 학산 마을 뒤 배 바위 아래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유희강의 『향토 인천의 안내-고적, 명승, 천연기념물』에는 산신 우물이 향교 뒷산 수챗골에 있었으며 물이 잘 나고 물맛이...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삼신 우물골이라는 이름은 삼신 우물이 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삼신 우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져 온다. 옛날 어느 마을에 세상에 부러울 것이 없는 부부가 살았는데, 다만 근심거리는 아이가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부부는 삼신 우물에서 치성을 드리면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부부는 목욕재계를 하...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에 있던 자연 마을. 솔안말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에 있었던 마을이다. 솔안말은 술의 원료가 되는 누룩의 명산지였다고 하며, 음성 구씨(陰城具氏)들이 모여 살았다고 한다. 솔안말에는 10여 호의 구씨들이 모여 살았는데, 이들은 모두 누룩을 만드는 기술자였다고 한다. 누룩 반죽은 여성들이 주로 하고 틀에 넣는 것은 남자들이 했다. 솔안말에서는 서너 명이...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 승기내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발원하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승기리 앞을 지나 서해로 들어가는 하천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승기리 앞을 흐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승기내는 주안 지역의 시가지가 확산되고 교통량이 늘어나면서 복개되어 만수로가 되었다. 승기내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산에서 시작하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에 있던 자연마을. 승학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여러 뜸의 마을을 일컫는다. 승기리는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의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신비 마을’로 불린다. 이 마을의 이름은 한때 없어져 폐허가 되었다가 다시 생겼다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다시 이어서[承] 생긴 마을[基]’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제대로 고증되지 않은 내용이며 논...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 7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인천광역시청 앞에서 경원로를 따라 인천광역시 중구 쪽으로 가다 보면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에서 신기 사거리와 만난다. 이 동네 일대를 예전에 신기촌이라고 불렀다. 신기촌은 한자어이며, 우리말 이름은 새터말이다. 신기촌은 시의 중심이었던 관청말 뒤쪽에 새로 터를 잡아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다. 새터말을 한자로 바꾼 것이 신기촌으로,...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던 자연 마을. 쑥골의 지명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글자 그대로 쑥이 많은 곳이라는 것이다. 둘째는 숯을 굽던 곳이라는 뜻으로 숯의 발음이 ‘숙’을 거쳐 ‘쑥’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셋째는 물이 많은 골짜기라는 뜻으로 ‘수(水)골’이 숫골˃쑥골로 바뀌었다는 해석이다. 넷째는 숲이 우거진 곳이라는 해석이다. 다섯째는 벼를 대표로...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에 있었던 경주 김씨의 집성촌. 여우실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의 옛 이름으로, 조선의 개국 공신인 계림군(鷄林君) 김균(金稛)의 3세손인 김종(金宗)의 후손이 18대에 걸쳐 500년 동안 살아 온 경주 김씨의 집성촌이다. 2012년 현재 여우실의 자리에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청과 청소년 회관 등이 자리하고 있다. 2004년 9월에 경주 김씨 문중 종친과...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었던 다리에서 유래된 지명. 옥다리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동회 앞 100m 지점에 있었던 다리이다. 관청은 관청 마을에 있고 옥(獄)은 개울 건너에 있었으므로 옥사(獄舍)로 왕래하는 다리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문학동 주민인 김무웅에 의하면, 문학 초등학교와 문학 출장소를 가기 위해서 건너 다녔던 돌다리로 ‘출장소 가는 다리’ 또는 ‘학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 4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현재의 숭의동은 구한말까지 인천부 다소면에 속했으며 장사래말이라 불렸다. 장사래말은 현재의 숭의동 전역을 아우르는 말이다. 숭의동은 행정동인 숭의 1~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2009년 숭의1동과 숭의3동을 통합하여 설립된 숭의1·3동에는 숭의 평화 시장과 목공예 마을, 인천 축구 전용 경기장과 숭의 우체국 등이 있다. 숭의...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 2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문학산의 한 줄기인 학익산 아래에 있는 동네이다. 학익산과 문학산의 주봉이 두 날개처럼 펼쳐져 동네를 감싸는 모습이라고 해서 학골, 핵굴로 불렀다고 한다. 학골이라는 명칭의 유래에는 몇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이곳이 옛날 바다에서 가까워 조개가 많이 났고, 이 때문에 합골로 불리다가 발음이 변해 햇골 또는 핵굴로 불렸다는 것이다...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문학산의 이전 이름이 ‘학산(鶴山)’이었다. 학산 마을은 문학산의 기슭에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옛 이름은 남산리(南山里)였다. 학산 마을에는 학산 서원 터가 남아 있다. 학산 서원은 정관재·이단상을 모신 서원으로, 1768년 ‘학산(鶴山)’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1788년(정조 10) 이단상의 아들 간암 이희조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조선 시대 유생들이 공부하던 인천 향교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고 해서 향교 마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인천 향교는 인천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11호로, 사적 사료가 분명치 않아 건립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근세에 와서는 읍내, 승기 부락으로 구분되고 1903년 8월에 동·리명 개정으로 읍내리, 동촌승기리가 되었다. 1906년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