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900625
한자 李殷相
영어공식명칭 Lee Eunsang
이칭/별칭 열경(說卿),동리(東里),문량(文良)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창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17년연표보기 - 이은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51년 - 이은상 별시 문과 급제, 승문원에 보임
활동 시기/일시 1659년 - 이은상 통정대부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61년 - 이은상 사간원 대사간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68년 - 이은상 승정원 도승지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78년연표보기 - 이은상 사망
묘소|단소 이은상 묘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리 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연안
대표 관직|경력 도승지|형조 판서

[정의]

경기도 가평군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가계]

이은상(李殷相)[1617~1678]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열경(說卿), 호는 동리(東里)이다.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조선 초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오른 이석형(李石亨)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현령 이계(李𡹘),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정구(李廷龜), 아버지는 형조 참판 이소한(李昭漢)이다. 어머니는 의정부 찬성 이상의(李尙毅)의 딸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고, 부인은 병조 참의 박안제(朴安悌)의 딸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활동 사항]

이은상은 조상의 은덕으로 벼슬길에 오른 뒤, 1651년(효종 2) 통덕랑(通德郞)으로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보임되었다. 1652년(효종 3)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설서(說書)로 재임하면서 숭전전에서 시행된 문신 정시(庭試)에 응시하여 1등으로 합격하였다. 1656년(효종 7) 세자시강원 문학(文學)으로 재임 중에도 8명을 선발한 문과 중시(重試)에 4등으로 합격하였다.

1657년 사간원 사간이 되어 궁가(宮家) 하인들의 폐단을 엄히 금지할 것을 요청하여 효종의 재가를 받았다. 그 뒤 사헌부 집의(執義)를 거쳤고, 1659년(효종 10)에는 홍문관 교리(校理)로 재임하면서 월과(月課)에서 3회 연속 1등을 차지하여 당상관인 통정대부로 승진하였다. 이후 승정원 승지에 발탁되어 왕명을 출납하였다. 1661년(현종 2)에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고, 1668년 승정원 도승지에 올랐다.

1674년(현종 15) 형조 판서로 재임할 당시,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자의대비(慈懿大妃) 복상 문제가 다시 일어났다. 이때 이은상은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하던 남인(南人)과 달리 대공설(大功說)을 주장하였다. 그 해 현종이 죽자 지중추부사로서 애책문(哀冊文)을 지어 올렸으며,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복상 문제로 유배되자 관직에서 물러나 관동 지방을 유람하였다고 한다.

[학문과 저술]

이은상의 저서로는 『동리집(東里集)』과 『동리소설(東里小說)』 등이 있다.

[묘소]

이은상의 묘와 신도비가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리 연안 이씨 묘역에 있다. 신도비는 아버지 이소한, 동생 이유상(李有相)의 신도비와 함께 비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이은상의 신도비는 1715년(숙종 41) 건립되었고, 좌의정 이이명(李頤命)이 비문을 지었다. 글은 민진후(閔鎭厚)가 썼고, 전액(篆額)은 김진규(金鎭圭)가 썼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