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0599 |
---|---|
한자 | 李德孚 |
영어공식명칭 | Lee Deokbu |
이칭/별칭 | 달경(達卿)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근하 |
출생 시기/일시 | 1675년 - 이덕부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721년 - 이덕부 식년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723년 - 이덕부 정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725년 - 이덕부 사헌부 지평·사간원 정언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727년 - 이덕부 직산현감으로 좌천 |
활동 시기/일시 | 1730년 - 이덕부 통정대부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731년 - 이덕부 사간원 대사간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732년 - 이덕부 안동부사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773년 - 이덕부 사망 |
부임|활동지 | 직산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
부임|활동지 | 안동대도호부 - 경상북도 안동시 |
묘소|단소 | 이덕부 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
성격 | 문관 |
성별 | 남 |
본관 | 전의 |
대표 관직 | 홍문관 수찬 |
[정의]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가계]
이덕부(李德孚)[1675~1773]의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달경(達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행건(李行健), 할아버지는 관찰사 이만웅(李萬雄),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징하(李徵夏)이다. 어머니는 정보연(鄭普衍)의 딸이다. 첫 번째 부인은 반남 박씨(潘南 朴氏)로, 사헌부 지평(持平) 박태유(朴泰維)의 딸이고, 두 번째 부인은 청주 한씨(淸州 韓氏)로, 유학(幼學) 한기유(韓起愈)의 딸이자 박세당(朴世堂)의 손녀이다. 형제로는 친동생인 이덕재(李德載)·이덕현(李德顯), 서제(庶弟)인 이덕인(李德寅)·이덕범(李德範) 등이 있다.
[활동 사항]
이덕부는 1689년(숙종 16) 박세당(朴世堂)의 손녀와 혼인하였으나, 1693년(숙종 19)에 부인이 사망하였다. 1721년(경종 1) 식년시에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고, 1723년 정시 문과 을과에 1위로 급제하였다. 1725년(영조 1)에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설서(說書)로 입사하였다. 이어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언(正言), 성균관 전적(典籍), 병조 좌랑 등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사헌부와 사간원 관원으로 있을 때 소론의 우두머리인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輝) 등을 탄핵하였으나, 오히려 1727년(영조 3)에 직산현감(稷山縣監)[직산현은 지금의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으로 좌천되었다. 직산현감으로 있으며 군액의 부족 등 지방의 폐단을 알리는 상소를 썼고, 1727년(영조 3) 다시 내직으로 돌아왔다. 이후 세자시강원 문학(文學), 홍문관 부수찬(副修撰)·수찬(修撰)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소론 온건파 정권이 들어서며 파직되었다.
하지만 1730년(영조 6)에 다시 부수찬·교리(敎理)·부교리(副校理) 등을 역임하였고, 통정대부에까지 올랐다. 1731년(영조 7)에는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사간원 대사간(大司諫)에 임명되었다. 1732년(영조 8) 노모를 모시기 위하여 안동부사(安東府使)로 부임하였으나, 이후 병으로 사직하였다. 안동부사 재임 중 지방의 적곡(積穀)[평상시에 미리 쌓아서 저장하는 곡식]이 적은 폐단 등을 적은 상소를 조정에 올리기도 하였다. 이후 특별한 행적이 없다가 1773년(영조 49)에 사망하였다. 시문과 서화에 능하였으며, 경종과 선의왕후(宣懿王后)[경종의 계비]의 능인 의릉(懿陵)의 비액(碑額)을 쓰기도 하였다.
[묘소]
이덕부의 묘는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