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0455 |
---|---|
한자 | 朝宗面 襲擊事件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상판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주혁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08년 11월 24일![]() |
---|---|
종결 시기/일시 | 1908년 11월 24일![]() |
발생|시작 장소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상판리
![]() |
종결 장소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상판리
![]() |
성격 | 사건 |
1908년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상판리에서 의병이 일본 헌병에게 몰살당한 사건.
1907년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파견한 헤이그특사 사건을 계기로 고종은 강제 폐위되었으며, 대한제국 군대는 해산되었다. 이에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이 시기 가평군 상면·하면에서는 120여 명의 의병들이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의병은 먹을 양식과 입을 의복이 없어 곳곳에서 동지들의 협조를 얻었다. 그러나 당시 일제의 감시가 극심하여 의병에게 동조하다 발각되면 화를 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협조자를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의병들은 부유한 탐관오리의 가옥을 기습·강탈하였다. 가평군 하면 망동(望洞)에 거주했던 나봉산(羅奉山)[1860~1910]은 의병들과 함께 영평군[현 포천군] 지구유지(芝久留地) 지역의 조판서(趙判書) 집에서 천냥을 얻어냈지만 되돌아오는 길에 관헌에게 붙잡혀 징역 5년형에 처해졌다. 이러한 강제에 의한 식량·의복의 확충 이외에도 가평 주민에게 자발적인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전국적으로 의병이 활발하게 활동하자 일본 헌병은 가평 일대에서도 의병 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1908년 음력 11월 24일, 조종면 상판리 근처에서 의병 30여 명이 변복한 일본 군인 10여 명에게 몰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