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께끼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442
영어공식명칭 Riddle
이칭/별칭 시시께끼
분야 구비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혜진

[정의]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서 어떤 사물을 빗대어 말하여 그것을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의 연원]

한국 수수께끼의 연원을 처음 보여 주는 문헌은 『삼국유사(三國遺事)』로 보고 있다. 『삼국유사』에 “열어 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라는 까마귀의 봉서를 일관(日官)이 풀어서 살렸다는 「사금갑조(射琴匣條)」 의 이야기, 소정방(蘇定方)이 신라에 보낸 의미가 불명확한 그림을 원효가 반절(反切)로 풀이하였다는 「태종춘추공조(太宗春秋公條)」 기사, 선덕여왕이 공주이던 시절에 당나라 황제가 모란꽃 그림을 선물로 보내 주었는데 선덕여왕이 그림의 뜻을 해석했다는 기사 등은 수수께끼의 내력을 보여 준다. 이후에 한국의 수수께끼는 단순히 언어 유희 차원으로 흐르는 유형도 있지만, 대개는 문제를 내고 그 문제를 풀어내는 과정을 보여 주는 지혜담 설화와 결합하여 다양하게 발전하게 된다.

[청송 지역의 수수께끼]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않고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물으면 상대방이 그 답을 알아맞히는 놀이이다. 이를 청송지역에서는 ‘시시께끼’라고도 한다. 수수께끼의 소재는 자연과 사회, 인간 생활의 모든 영역에 걸쳐 두루 존재한다. 수수께끼는 주로 일문일답식으로 이루어진다. 수수께끼에서 질문은 사람들의 사고력을 발동시킬 수 있도록 형상적이면서도 세련된 비유로 표현된다. 수수께끼는 고유한 표현 방식을 통하여 사물의 현상이나 인간의 생활에 대하여 정확한 인식과 이해를 가지게 한다. 또한 수수께끼에 대한 풀이 과정은 사고력이나 판단력 또는 추리 능력을 높여 준다.

수수께끼는 각 시대별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반영하며 변화·발전한다. 수수께끼의 유형은 시늉·모방형, 소리 연상형, 말 겨루기형, 지혜 겨루기형, 넌센스형, 시리즈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비 전승되는 우리나라의 수수께끼는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청송군 지역에서 발달한 고유한 혹은 독특한 수수께끼는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수수께끼는 그 특성상 지역성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 까닭에 청송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대부분의 수수께끼는 다른 지역과 대동소이하다. 농촌지역인 청송군에서는 ‘소’와 관련된 수수께끼들이 종종 발견된다. 그 예시는 아래와 같다.

1. 크게 껄껄껄 웃는 소는? 박장대소

2. 술에 취한 소는? 취소

3. 취나물을 먹고 자란 소는? 취소

4. 취권을 배워서 취권을 잘하는 소는? 취소

5. 우스운 소는? 우습소

6. 웃었던 소는? 웃었소

[청송 지역 수수께끼의 의의]

현재 구비문학이나 민속학 분야에서 여타의 장르에 비해 수수께끼 담론은 미진한 편이다. 더욱이 지역의 정체성을 연구할 수 있는 지역 특유의 수수께끼들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 청송군 지역 역시 청송군만의 독특한 수수께끼는 찾아보기 힘들다. 수수께끼는 기억하기 쉬운 간략한 놀이 형태의 문답 형식을 취하면서도 어떤 사물과 현상을 상상하고 추리하며 판단하게 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수수께끼가 쉬운 놀이 형태로 진행된다는 점에 착안해서 ‘수수께끼를 활용한 청송군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전파 방안’을 논의하는 것도 청송군 지역의 수수께끼나 수수께끼담을 활성화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