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036 |
---|---|
한자 | 霧藏山 |
영어공식명칭 | Mujangsan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해당 지역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내룡리 |
---|---|
성격 | 산 |
높이 | 640.8m |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내룡리와 항리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무장산(霧藏山)은 640.8m이며, 주왕산국립공원 내에 속해 있다.
[자연환경]
무장산의 북쪽으로 이어진 능선은 청송군 주왕산면 내룡리와 항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봉산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덕갈산[650m]으로 이어진다. 이 능선부의 서사면을 따라 덕갈산 서쪽에서 발원한 하천이 남류하다가 한소밭교 일대에서 가천으로 합류한다.
무장산을 구성하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신라층군-낙동층군 적색 사암층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이다. 경상계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은 주변 암체들보다 풍화와 침식에 강하여 이 일대에서 비교적 높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무장산 정상부 일대는 경상계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덕갈산의 정상부 일대는 경상계 신라층군-낙동층군 적색 사암층 구성되어 있다.
무장산 일대에는 소나무·굴참나무 등의 군락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고라니·노루·다람쥐·멧돼지·산토끼 등과 멸종위기 포유류인 담비와 삵이 서식하고 있으며, 물까마귀·박새·붉은머리오목눈이·산솔새·쇠딱따구리·쇠박새·쑥새·어치·직박구리 등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현황]
무장산 일대는 1976년 3월 30일 주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당시에는 국립공원의 범위에 속하지 않았다. 이후 주왕산국립공원의 전체 면적 107.43㎢ 중 약 30%에 달하는 경상북도 영덕군 일부의 29.34㎢ 면적이 편입되면서 영덕의 팔각산[633m]과 함께 무장산 일부가 주왕산국립공원에 속하게 되었다.
무장산에서 북쪽의 덕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서사면에 자리한 곡저평야는 농경지 및 주거지로 이용되고 있다. 무장산의 남쪽에는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하나인 청송얼음골이 있다. 주왕산면 내룡리 설티삼거리-무장산-덕갈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다. 다만, 무장산의 남쪽으로 등산 명소인 팔각산-절골 종주 코스가 있으나, 무장산의 등산로로 이어지지 않아 등산객이 많이 찾는 곳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