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900698
한자 朴長浩
영어공식명칭 Bak Jangho
이칭/별칭 박화남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기도 가평군
시대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조범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0년 6월 22일연표보기 - 박장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6년 - 박장호 관동의병 봉기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15일 - 박장호 대한독립단 조직 및 도총재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22년 4월 2일연표보기 - 박장호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박장호 건국훈장 독립장 서훈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9년 10월 28일 - 박장호 묘소 이장
출생지 박장호 출생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박장호 이주지 -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
활동지 박장호 활동지 - 만주 유하현 삼원보
묘소 박장호 묘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 산125 지도보기
성격 의병장|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독립단 도총재

[정의]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출신 독립운동가.

[가계]

박장호(朴長浩)[1850~1922]의 본관은 밀양, 호는 화남(華南)이다. 밀성군 박척(朴陟)[1430~1470]의 23세손으로, 아버지는 외헌공(畏軒公) 기우(夔祐)이며 어머니는 단양 우씨이다. 1850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서 태어났다. 강의혁(姜義赫)의 딸과 결혼하여 1남 3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박장호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중암(重庵) 김평묵(金平默), 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 등에게 수학하였다.

1876년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그 부당함을 지적하며 동문인 유인석(柳麟錫)·홍재학(洪在鶴) 등과 함께 반대 상소를 올렸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1906년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에서 관동의병(關東義兵)을 일으켜 항일전투를 전개하였다. 1907년에는 운강(雲岡) 이강년(李康秊)과 함께 연합하여 계속 일본군과 대전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강점되어 국내에서의 항쟁이 불가능해지자 만주로 망명하여 장백·무송·집안·임강현 등지에서 국권회복에 전념하였다.

1919년 3·1독립만세운동으로 국내에서 만주로 망명하는 청년들이 늘어났다. 이에 종래의 개별적인 행동을 지양하고 단일체로 통합하여 체계적인 항일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동년 4월 15일 각지에 산재해 있는 의병장·유림 대표·보약사(保約社) 대표·농무계(農務契)·포수단(砲手團) 대표 등 560여 명이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 서구대화사(西溝大花斜)에 모여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을 조직하고 독립선언문을 발표하였다. 이때 박장호대한독립단의 최고책임자인 도총재(都總裁)로 추대되어, 부총재 백삼규(白三奎), 총단장 조맹선(趙孟善), 군사부장 전덕원(全德元) 등의 간부를 임명하였다. 대한독립단은 각 현에 지단(支團)·분단(分團)을 설치하고 보민회(保民會)·강립단(强立團) 등 친일단체의 숙청에 노력하였다.

대한독립단은 연호문제로 기원독립단(紀元獨立團)과 민국독립단(民國獨立團)으로 분열되었다. 박장호는 전덕원(全德元)·이웅해(李雄海)·김평식(金平植) 등과 같이 기원독립단, 즉 조선왕조에 충성하는 복벽운동(復酸運動)을 주장하는 수구파에 속하였다. 이후 대한독립단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공동보조(共同步調)를 취하기로 하였다. 1921년 5월 군사활동을 단일화하기 위해 광복군 총영이 설립되자 이에 합류하였다.

박장호는 1922년 4월 일제가 파견한 밀정에 의하여 암살당했다.

[묘소]

박장호의 묘소는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산54에 있었으나, 2019년 10월 28일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 산125 가평추모공원으로 이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박장호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서훈받았다. 2007년에는 가평문화원에서 박장호의 삶을 다룬 『대한독립단 도총재 박장호실기』를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