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900621
한자 李雨臣
영어공식명칭 Lee Woosin
이칭/별칭 백열(伯說),십탄(十灘)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현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70년연표보기 - 이우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10년 - 이우신 사산감역관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14년 - 이우신 정읍현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18년 - 이우신 인제현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31년 - 이우신 사복시 첨정 제수, 『마의방』 간행
활동 시기/일시 1733년 - 이우신 원성현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35년 - 이우신 돈령부 도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36년 - 이우신 동지중추부사 제수
몰년 시기/일시 1744년연표보기 - 이우신 사망
거주|이주지 이우신 은거지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정읍현 - 전라북도 정읍시
부임|활동지 인제현 - 강원도 인제군
부임|활동지 대구도호부 - 대구광역시
부임|활동지 함양군 - 경상남도 함양군
부임|활동지 의성현 - 경상북도 의성군
부임|활동지 부평도호부 - 인천광역시 계양구
묘소|단소 이우신 묘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연안
대표 관직 동지중추부사

[정의]

조선 후기 경기도 가평 지역에 은거한 문신.

[가계]

이우신(李雨臣)[1670~1744]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백열(伯說)이고, 호는 십탄(十灘)이다. 할아버지는 판서 이일상(李一相), 아버지는 사복시 첨정 이성조(李成朝)이다. 어머니는 풍양 조씨(豊壤 趙氏) 조상정(趙相靜)의 딸이다.

[활동 사항]

이우신은 1710년(숙종 36)에 조상의 덕으로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이 되었다. 1714년(숙종 40)에는 정읍현감(井邑縣監), 1718년(숙종 44)에는 인제현감(麟蹄縣監)으로 부임하였다.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실시하고, 삼세(蔘稅)를 줄이는 등 선정에 힘써 지역민들로부터 평판이 좋았다. 이후 대구판관, 함양군수, 의성현감, 부평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인좌(李麟佐)의 난 뒤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은거하였는데, 근처에 십이탄(十二灘)[열두 여울]이 있었으므로 호를 ‘십탄’이라 하였다. 1731년(영조 7) 다시 사복시 첨정이 되었고, 1733년(영조 9) 원성현감(原城縣監)으로 부임하여서는 흉년으로 굶는 백성들을 구휼하는 한편, 향약 12조를 국문으로 번역하였다. 순찰사가 조정에 보고하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제수되었고, 백성들도 송덕비를 세웠다.

내직으로 돌아온 후에는 1735년(영조 11) 첨지중추부사, 오위장, 돈령부 도정을 역임하였고, 1736년(영조 12)에는 동지중추부사, 동지돈령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등을 지냈다. 이어 호조 참판에 제수되었으나 늙음을 이유로 사양하였다. 이조판서·좌찬성에 증직되었다.

[학문과 저술]

이우신은 이희조(李喜朝)[1655~1724]의 문인으로, 변려문(騈儷文)에 뛰어났다. 1731년(영조 7) 사복시 첨정으로 재직할 때 『마의방(馬醫方)』을 간행하여 마의(馬醫) 임명을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묘소]

이우신의 묘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있다. 원래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는데, 과천시로 이장하였다가 다시 가평군으로 옮겼다. 신도비는 1756년에 중추부사 유척기(俞拓基)가 짓고 전(篆) 하였으며, 유공권(柳公權)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