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900674
한자 權任相
영어공식명칭 Gwon Imsang
이칭/별칭 독립운동가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조범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7년 4월 16일연표보기 - 권임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5일 - 권임상 북면 만세시위 참여
몰년 시기/일시 1942년 11월 28일연표보기 - 권임상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9년연표보기 - 권임상 대통령표창 서훈
출생지 권임상 출생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 646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권임상 거주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 646 지도보기
활동지 권임상 북면 만세시위 참여지 - 경기도 가평군 북면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북면 만세시위 참여

[정의]

일제 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북면 출신 독립운동가.

[가계]

권임상(權任相)[1887~1942]의 본관은 안동이며, 1887년 가평군 북면 백둔리 646에서 태어났다. 슬하에 아들 권병훈(權炳薰)을 두었다.

[활동 사항]

1919년 전개된 3·1운동은 각지로 확산되었다. 가평에서도 3월 15~16일 만세시위가 벌어졌다. 가평군 북면 목동리에 사는 이규봉(李圭鳳)은 한문교사 출신으로, 고종의 인산일에 맞추어 상경하였다가 만세시위를 목격하고 마침 서울에 있던 제자 정한교(鄭漢敎), 신태연(申泰鍊), 민영순(閔泳純)을 만나 경위를 듣게 되었다. 이들은 천도교에서 활동하며 3·1운동을 준비하는 작업을 맡았는데, 이규봉에게 이러한 내용을 알리고 가평군에서도 만세시위를 일으켜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규봉은 이들에게 받은 「독립선언서」 1매와 돌아오는 길에 받은 「독립선언서」와 『독립신문』 각 1매씩을 가지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왔다.

이규봉은 장남 이윤석(李胤錫)과 제자 정흥교(鄭興敎)에게 서울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였는데, 이윤석정흥교 모두 만세시위를 하는 것에 찬동하였고 이에 이규봉은 3월 7일 주민들을 초대하여 은밀히 만세시위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였다. 장기영(張基英), 정성교(鄭聖敎), 이만석(李萬錫), 정재명(鄭在明), 이병찬(李炳贊) 등 약 20여명의 주민들은 이규봉의 이야기를 듣고 참여하기로 하였다. 이규봉은 천도교 및 기독교인들을 통해 연락을 주고받고, 종이를 걷어 태극기와 비밀통문을 제작하였다. 최종화(崔宗和)·최용화(崔容和) 형제는 아낙네들의 도움을 받아 비밀리에 태극기 1,800여개를 제작하였으며, 몰래 비밀통문 500여매를 제작하여 3월 14일 밤 정기복(鄭基福), 정천수(鄭天洙), 최인화(崔仁和) 3인이 북면의 각 동리에 비밀통문을 전달하였다. 권임상백둔리 주민들에게 만세시위를 알리는 역할을 맡았다.

거사 당일인 3월 15일 오전 9시, 먼저 약 50여명의 주민들이 북면의 성황당에 집결하여 만세를 불렀다. 이들은 북면사무소로 몰려가 한 차례 더 만세를 불렀으며 인원은 수백명으로 불어났다. 북면사무소 앞에서 만세를 부른 군중들은 다시 태극기를 앞세우고 가평 읍내로 진출하였다. 가평 읍내의 군청과 면사무소, 학교, 우편국 등 공공기관에 몰려가 만세를 외치자 김정호(金定鎬), 최기홍(崔基弘), 장귀남(張貴男), 김창현(金昌鉉) 등 가평 읍내 주민들도 호응하였다. 오후가 되어 만세시위의 무리는 수천에 달했다.

일본 경찰들은 만세시위를 주도한 인물들을 찾아내 이규봉, 이윤석, 최기선(崔基善), 최인화, 최종화, 최용화 등 10여명의 인물을 체포하였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장기영, 정성교, 이교성(李敎聖), 홍종선(洪鍾先) 등이 북면 주민 200여 명과 함께 목동리의 성황당에 모여 구금된 인물들을 구출하러 출동하였다. 당고개에 이르러 출동한 헌병들과 마주쳤고 격렬히 저항하였으나 결국 수십명이 일경에 체포되어 이 가운데 20여명이 재판을 받았다. 권임상 또한 이들과 체포되어 징역 6개월을 언도받았고, 항소하여 7월 14일 경성복심법원으로부터 무죄판결을 받았다.

[상훈과 추모]

권임상은 2019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